전체뉴스

'큰손' 국민연금, 투자 종목 수는 줄었지만 '집중 투자' 종목은 늘어

김소형 기자

입력 2024-01-17 13:21

세계 3대 연기금인 '큰손' 국민연금이 보유한 국내 상장사 지분 가치가 지난 10일 기준 130조원 이상으로 불어난 가운데, 국민연금의 투자종목 수는 줄었지만 집중 투자 종목은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지난해 'IT전기전자' 업종에 대한 투자가 가장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2022년 비중 1위를 차지했던 지주(금융지주 포함)는 2위로 내려앉았다.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에 따르면, 국민연금이 국내 상장사 중 지분 5% 이상 투자한 종목 수는 지난해 말 기준 281개로, 2022년 말 287개에 비해 6개 줄었다. 반면 10% 이상 투자한 종목은 2022년 36개에서 지난해 43개로 7개 증가했다.

지난해 국민연금의 국내 주식 투자 화두는 '집중'이었던 것으로 풀이된다.

국민연금이 5% 이상 투자한 전체 22개 업종 가운데,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 업종은 IT전기전자였다. 2022년 말 37개(12.9%)였던 IT전기전자 종목 수는 지난해 41개(14.6%)로 늘었다. 이어 지주 40개(14.2%), 석유화학 26개(9.3%), 서비스 24개(8.5%), 조선·기계·설비 23개(8.2%) 순이었다.

국민연금이 5% 이상 투자한 종목 중 보유 지분 가치가 가장 큰 기업은 삼성전자로, 지난해 말 기준 지분율은 7.35%, 가치는 34조4646억원에 달했다. SK하이닉스가 지난해 지분율 7.9%, 지분 가치 8조1396억원으로 2위를 차지했다. LG에너지솔루션(5.74%·5조7378억원), 삼성바이오로직스(6.72%·3조6354억원), 네이버(9.34%·3조3961억원), 현대자동차(7.35%·3조1619억원), 기아(7.17%·2조8843억원) 등이 뒤를 이었다.

국민연금 보유 지분율이 가장 큰 종목은 LS로, 2022년 13.54%에서 지난해 13.85%로 0.31%포인트 늘었다. LIG넥스원 지분율은 같은 기간 0.84%포인트 증가한 13.53%로 2위를 기록했다. 또한 코스맥스(13.35%·3위)와 한국콜마(13.2%·5위) 등 화장품 ODM(제조업자 개발 생산) 기업 2곳이 보유지분율 '톱5'에 포함됐다.

지난해 국민연금이 지분을 가장 많이 늘린 기업은 초고압 변압기와 전력 설비 등 신규 수주 확대로 인한 실적 개선이 기대되는 효성중공업(6.04%→11.29%)이었다. 반면 SK네트웍스의 자회사로 편입될 예정인 SK렌터카에 대한 국민연금 보유 지분율(8.66%→0.6%)은 8.06%포인트 급감했다.

CJ는 2022년 7.84%였던 지분율이 지난해 12.94%로 늘어 지주사 가운데 최대 증가폭을 기록했다. 지분율 감소 폭이 가장 큰 곳은 두산(13.6%→6.19%)으로, 알짜 자회사인 두산로보틱스가 지난해 10월 상장한 영향을 받았다.

한편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국민연금이 5% 이상 지분을 보유해 공시 대상인 국내 상장사 보유 주식 평가액은 지난 10일 기준 총 133조8349억원으로 집계됐다.

이같은 주식 평가액 증가는 지난해 고금리 장기화 우려 속에 약세를 보이던 증시가 11~12월 시장 금리 하락과 함께 반등한 데 따른 것이란 분석이다. 국내 유가증권시장(코스피) 지수는 2022년 말 2236.40에서 지난해 말 2655.28로 400포인트 넘게 올랐다. 김소형기자 compact@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