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뉴스

'포수 대부'에게 물었다...'로봇심판-피치클락' 대격변의 시대, 어떤 포수가 좋은 포수인가요

김용 기자

입력 2024-01-04 11:03

수정 2024-01-05 06:39

more
'포수 대부'에게 물었다...'로봇심판-피치클락' 대격변의 시대, 어떤 …


[스포츠조선 김용 기자] "프레이밍 신경 안 쓰면, 주자들 다 뛴다."



KBO리그는 2024년 대격변의 시대를 맞이한다. 자동 볼판정 시스템(ABS), 일명 로봇심판 제도가 도입된다. 그리고 피치클락도 시행된다.

이제 스트라이크, 볼 판정을 두고 항의할 필요가 없어졌다. 기계가 원하는 존을 찾는 승부다. 또 시간과의 싸움이다. 정해진 시간 안에 투수는 공을 던져야 하고, 타자는 타격 준비를 해야한다.

모든 포지션 선수들이 영향을 받겠지만, 가장 혼란스러울 수 있는 포지션이 바로 포수다. 달라질 존에 따라 볼배합에 대한 개념 자체를 완전히 바꿔야 한다. 이제 공 하나 빠지는 등의 리드는 의미가 없어질 수 있다. 동시에 프레이밍(포수가 공을 잡을 때 유리한 판정을 받기 위해 미트를 움직이는 행동)도 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할 수 있다. 포수가 어떻게 공을 잡더라도, 중요한 건 기계가 보는 존을 통과하는지 여부다. 땅에 박히는 낮은 커브도 존만 통과하면 스트라이크다. 블로킹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될 수밖에 없다. 또 시간이 없다. 빠르게 머리가 돌아가야 한다. 구종, 코스를 두고 한참 생각할 여유가 없다. 체력도 키워야 한다. 힘들면 잠깐 일어나 숨돌릴 틈도 없다. 피치클락 8초가 남기 전 포수는 무조건 자리에 앉아야 한다.

그렇다면, 새롭게 바뀔 야구에 적합한 포수는 어떤 포수일까.

'포수 대부'인 조범현 전 KIA 타이거즈, KT 위즈 감독에게 물었다. 조 전 감독은 "사실 프로팀들은 경기 전 이미 큰틀에서의 상대 공략, 리드 등을 준비하고 나온다. 때문에 피치클락 여파가 투수 리드에 엄청난 방해가 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전망하면서도 "포수들이 머리가 아플 때가 있다. 승부처 어떤 코스, 어떤 공을 선택하느냐 고민할 때다. 그런데 이 시간이 줄어들어 신중한 판단을 하지 못한다면, 그 공 하나로 경기에 큰 영향을 미칠 가능성은 충분하다. 시간상 벤치 사인을 세세하게 받기도 힘들다. 상황 판단이 빠른 선수들이 유리할 것 같다"고 설명했다.

블로킹 중요성도 인정했다. 조 전 감독은 "박세웅(롯데)같이 커브가 좋은 투수들이 많이 유리해질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포수가 안정적으로 블로킹을 해줘야 한다. 최근 야구 트렌드는 블로킹을 할 때 포수가 두 발이 아닌 한 발로 움직이는 것이다. 그래야 속도가 빨라진다. 골반이 유연한 포수들이 블로킹에 있어서는 강점을 가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위에 언급된 사안 중, 로봇심판 도입 얘기가 나오자 가장 이슈가 된 게 프레이밍이었다. 롯데 자이언츠 유강남처럼 프레이밍을 잘해 '먹고 살았던' 포수들의 가치가 크게 하락할 거라는 것이었다.

하지만 조 전 감독은 생각이 달랐다. 조 전 감독은 "로봇심판이 도입된다고, 포수가 프레이밍을 신경 쓰지 않을 수는 없을 것"이라는 의견을 밝혔다. 도루에 주목했다. 조 전 감독은 "포수들은 평생 해온 습관이 있다. 아무 생각 없이 공을 잡으면, 그 다음 송구 자세가 잡히지 않는다. 주자가 없을 때라면 상관 없겠지만, 주자가 있다고 가정하면 포수들은 원래 공을 받던대로 공을 받아야 본능적으로 가장 빠른 송구 자세를 만들 수 있다. 스트라이크 판정을 받기 위한 프레이밍이 아니라, 주자를 견제하기 위한 프레이밍은 계속해서 필요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용 기자 awesome@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