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뉴스

10대 생활체육 참여율 47.9% "전연령대 최저"[2023국민생활체육조사 결과]

전영지 기자

입력 2024-01-10 13:35

10대 생활체육 참여율 47.9% "전연령대 최저"
제공=문체부

문화체육관광부(이하 문체부)가 10일 '2023년 국민생활체육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이 2022년 8월 29일부터 2023년 8월 28일까지 한달간 전국 17개 시도 만 10세 이상 국민 9000명을 대상으로 시행한 이번 조사에서 2023년 생활체육 참여율(주 1회, 30분 이상 규칙적 체육활동)은 62.4%로 전년도 61.2% 대비 1.2%포인트(p) 증가했다.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66.6%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코로나19 발생기간(2020~2022년)의 평균 참여율 60.7%보다는 증가했다. '읍면지역' 이하 참여율은 66.2%로 2020~2022년 3년 평균대비 8.1%포인트(p) 증가했고, 연령대별 생활체육 참여율 조사 결과 60대는 전년 59.6%에서 8.4%포인트(p)가 상승한 68.0%로 전 연령대 중 가장 높은 참여율을 보였다. 소득수준이 100만 원 미만인 집단이 16.7%포인트(p), 100만~200만 원 집단이 12.6%포인트(p) 증가해 저소득층의 생활체육 참여율이 크게 증가했다.

하지만 10대 참여율은 전년에 비해 4.7%포인트(p) 낮은 47.9%로 나타나 10대 건강 체력을 끌어올리기 위한 학교체육 활성화의 필요성을 확인했다.

생활체육에 참여하는 주 이유에 대해선 '건강 유지 및 체력증진'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77.3%로 가장 높았고 '체중 조절 및 체형 관리(45.5%)', '여가 선용(39.3%)' 등의 답이 뒤따랐다. 자주 이용하는 체육시설은 1위 '공공체육시설(28.3%)', 2위 '민간체육시설(23.4%)', 3위 기타 체육시설(9.9%, 아파트단지 체육시설 등) 순으로 조사돼 전년과 달리 공공체육시설 이용률이 민간체육시설 이용률을 앞질렀다. 공공체육 인프라 구축 정책의 성과가 결과로 입증됐다. '공공체육시설'의 경우에는 '간이운동장(53.0%)', '체력단련장(23.2%)', '수영장(8.5%)' 순, '민간체육시설'의 경우에는 '체력단련장(42.1%)', '수영장(12.6%)', '골프연습장(11.4%)' 순이었다. 체육시설을 자주 이용하는 이유로는 '거리상 가까워서(38.3%)' '시설이용료가 무료 또는 저렴해서(30.9%)' 순이었으며, 반대로 이용하지 않는 이유는 '시간적 여유가 없어서(54.7%)'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규칙적으로 가장 많이 참여하는 운동은 '걷기(37.2%)', '등산(17.3%), '보디빌딩(16.3%)' 순으로 등산 참여율은 전년 대비 10~20대를 제외한 모든 연령대에서 3.0%포인트(p) 이상 증가했고, 보디빌딩은 30대에서 전년 대비 참여율이 가장 큰 폭(9.2%p)으로 증가했다.

코로나19로 참여율이 지속하락했던 '수영'은 코로나 기간 6.3%에서 2023년 7.7%로 상승했다. 골프는 6.7%에서 7.1%, 체조는 5.5%에서 6.1%, 배드민턴는 4.4%에서 5.2%, 탁구는 2.3%에서 4.5%로 참여율이 증가했다. 체육 동호회(학교 동아리, 스포츠클럽 포함)에 가입 활동하는 비율은 11.3%로 전년에 비해 1.1%포인트(p) 소폭 증가했다. 가장 많이 가입한 종목은 '축구/풋살(22.9%)', '배드민턴(12.3%)', '탁구(10.5%)' 순이었다.

문체부는 이번 결과에서 확인된 생활체육 비참여 인구(32.2%)에 대한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스포츠 활동 인센티브 제도(1인당 최대 5만 원 지급)' 시행과 접근성 개선을 위한 학교체육시설 개방 확대, 국민체육센터 확충 등 생활체육 기반 구축을 더욱 강화해나갈 계획이다. 특히 전 연령대 중 생활체육 참여율이 가장 낮게 나타난 10대 청소년의 스포츠 참여를 확대를 위해 문체부는 "'찾아가는 체력측정 서비스'를 강화하고 학교스포츠클럽과 우수 체육지도자·시설·프로그램을 보유한 지정스포츠클럽의 연계를 강화하는 한편 '신나는 주말체육학교 프로그램', 종목단체와 프로단체를 통한 '찾아가는 방과 후 스포츠 교실' 등도 내실 있게 운영할 것"이라고 밝혔다. 전영지 기자 sky4us@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