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뉴스

맥주·소주 가격의 외식 물가 상승률, 유통업체 판매가의 3배 수준

남정석 기자

입력 2024-01-23 10:52

'집에서 혼술을 해야 하나?'



식당 등 외식업체에서 판매하는 맥주와 소주의 물가 상승률이 대형마트나 편의점 판매가 상승폭의 3배 수준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식을 하며 가볍게 술 한잔 하기도 더욱 부담스러워진 상황이다. 올해는 출고가 인하로 소주 가격이 소비자가 기준으로 최대 10% 인하되는 가운데, 식당에서의 판매가가 완화될지도 주목된다.

23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해 식당 등에서 판매하는 맥주(외식) 소비자물가지수는 114.66으로 전년 대비 6.9% 올랐다. 이는 IMF(국제통화기금) 외환위기 당시인 1998년(9.7%) 이후 25년 만의 최고치다. 대형마트나 편의점 등에서 판매하는 가공식품 맥주 물가 상승률(2.4%)과 비교하면 3배 가까이 오른 것이다. 외식을 하며 즐기는 소주의 물가 상승률 역시 7.3%로 일반 가공식품 소주 물가 상승률(2.6%)의 2.8배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주류업체들의 맥주 및 소주 가격 인상 등을 계기로 상당수 식당의 맥주와 소주 가격이 4000원에서 5000원 수준으로 올랐고, 6000원까지 상승한 곳도 있다.

하지만 올해는 국산 증류주에 붙는 세금이 줄어들어 소주 출고가가 약 10% 싸지면서 대형마트나 편의점 등에서 소주 구매 부담이 줄게 됐다.

하이트진로는 지난해 12월 참이슬과 진로 출고 가격을 10.6% 내렸고, 롯데칠성음료도 처음처럼 및 새로 출고가격을 각각 4.5%, 2.7% 인하했다. 이에 따라 연초부터 대형마트와 편의점에서 판매하는 소주 가격은 최대 10% 내렸다. 이마트가 360㎖ 용량의 참이슬 후레쉬 및 오리지널 가격을 기존 1480원에서 1330원으로 10% 낮춘 것을 비롯해 롯데마트, 홈플러스 등도 가격을 인하했다.

주류업체가 출고 가격을 내리면 외식업체 납품가도 그만큼 낮아지지만, 현장에서 바로 가격 인하가 반영되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고물가에 음식 가격을 많이 올리지 않는 대신 주류 가격을 인상해 이윤을 내는 경우도 적지 않기 때문이다.

외식업계 관계자들은 외식업이 식재료, 인건비, 임대료 등 전반적으로 물가 영향을 받고 있기 때문에, 주류 납품가 인하가 바로 판매가에 반영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 지적했다.남정석 기자 bluesky@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