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뉴스

지난해 대기업 취업자수 첫 300만명 돌파, 전체 취업자 10명 중 1명 수준으로 역시 최대

남정석 기자

입력 2024-01-22 11:18

지난해 대기업 취업자가 사상 처음 300만명을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전체 취업자 가운데 대기업에 입사한 비중도 역대 최고인 10명 중 1명 꼴이 됐다.

통계청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300인 이상 종사자를 보유한 대기업에 취업한 사람이 전년보다 8만 9000명 늘어난 308만 7000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기업에 취업한 사람이 300만명을 넘어선 것은 2004년 관련 통개를 집계한 이후 처음으로, 2018년 이후 지난해까지 6년 연속 대기업 취업자 수가 증가세를 기록했다.

시기로 따지면 코로나19 팬데믹에 증가폭이 더욱 두드러졌다. 대기업 취업자 수 증가 규모가 코로나 팬데믹 첫 해인 2020년에 7만 9000명이었는데, 2021년에는 14만 3000명으로 증가했고, 2022년에는 18만 2000명으로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기업이 비대면 업종을 중심으로 더 성장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대면 업종이 상대적으로 많아 이 시기에 더 고전했던 중소기업과는 대조되는 상황이다.

전체 종사자수로 따지면 역시 대기업 중 삼성전자의 직원수가 압도적인 1위를 유지했다. 증가세도 컸다. 지난해 6월 말 기준 12만 4070명이 재직하고 있는데, 이는 1년 전보다 6166명(5.2%) 늘어난 수치다. 또 코로나 전인 2019년 6월 말과 비교하면 1만 9026명(18.1%)이나 증가했다.

삼성전자에 이어 현대차 직원 수가 2번째로 많았다. 지난해 6월 말과 비교해 7만 1520명으로 1년 전보다 847명 늘었고, 4년 전보다는 2213명 증가했다. 시가총액 기준으로 보면 삼성전자에 이어 22일 현재 시총 2위인 SK하이닉스가 3만 2217명, 3위인 LG에너지솔루션이 1만 1793명 등이다.

이밖에 전체 취업자 중 대기업 입사자 비중은 10.9%로 사상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2020년 9.9%에서 2021년 10.3%로 첫 10%를 돌파한데 이어, 계속 늘어나는 추세다.

이로 인해 지난해 종사자 300인 미만의 중소기업 취업자가 전년보다 23만 8000명이 증가한 2532만 9000명으로 사상 최대치를 찍었음에도 불구, 전체 취업자 중 비중은 89.1%로 역대 최저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기업 취업자 증가율이 3.0%로 중소기업(0.9%)의 3배 이상 늘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올해는 경기 침체가 좀처럼 호전될 기미를 보이지 않으면서 코로나 엔데믹 이후 두드러졌던 취업자 대폭 증가는 지속되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해 말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직종별 사업체 노동력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부터 올 1분기까지 종사자 1인 이상 사업체들의 채용 계획 인원이 55만 6000명으로 전년 동기보다 12.7%, 약 8만 1000명 가량 줄어들며 채용 시장이 좁아질 것으로 보인다.

산업별로는 제조업이 13만 7000명으로 가장 많고 이어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6만 6000명, 도소매업 6만 5000명, 숙박 및 음식점업이 5만 3000명의 채용 계획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설업만 전년 대비 3000명 늘어나고, 나머지 산업군은 대부분 인원이 줄었다. 이처럼 채용 인원이 감소한 것은 팬데믹 전환 이후 채용 인원이 크게 증가한 것에 대한 '기저효과'인 동시에 산업 전반적인 침체의 영향 때문으로 분석된다.

노동 전문가들은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의 고용 양극화가 올해 발생할 가능성이 높기에 중소기업에 대한 지원 강화를 통해 고용에 적극 나설 수 있는 정책적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남정석 기자 bluesky@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