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뉴스

산업연 "트럼프 재집권 이후 韓자동차 추가 관세 부과 가능성"

입력 2024-06-10 11:07

산업연 "트럼프 재집권 이후 韓자동차 추가 관세 부과 가능성"
(피닉스 AFP=연합뉴스) 6일(현지시간) 미국 애리조나주 피닉스의 드림시티 교회에서 열린 타운홀 미팅 행사장에 공화당 대선후보인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등장하자 지지자들이 각종 팻말을 들고 환영하고 있다. 트럼프가 공식 행사에 참석한 것은 유죄 평결 후 처음이다. 2024.06.07 passion@yna.co.kr


美 대선 결과 따른 한국 자동차산업 영향 분석
"'美 의존' 자동차 수출 구조 다변화하고 수출·현지생산 조정해야"



(서울=연합뉴스) 이슬기 기자 = 미국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재집권할 경우 미국의 대(對)한국 무역적자를 이유로 한국산 차량에 추가 관세를 부과할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이 나왔다.

산업연구원은 10일 '미국 대선에 따른 한국 자동차산업의 영향'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예상하고 "한국 자동차산업은 미국에 절대적으로 의존하는 수출 구조를 다변화해야 하고, 미국 수입 시장에서 수출 및 현지 생산을 적정 수준으로 조절하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산업연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 자동차 수출에서 미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42.9%였다.

완성차 수출에 있어 미국 의존도는 45.4%였고, 전기차 수출의 경우 미국 비중은 35%로 집계됐다.

특히 전기차 수출 증가율은 2019∼2023년 연평균 56.2%이었고, 같은 기간 대미(對美) 전기차 수출 증가율은 연평균 88%에 달했다.
산업연은 "자동차산업은 미국에서도 매우 중요한 산업이어서 정치적 성향이나 대통령의 특성에 따라 많은 변화가 있을 수 있다"며 미국 대선 이후 자동차 정책 변화에 주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미국 대선 결과에 따른 한국 자동차산업의 영향을 살펴보면 조 바이든 대통령의 재집권 시에는 한국 업체들의 전기차 판매 호조가 예상된다.

환경규제로 미국 내 전기차 수요가 증가하면서 경쟁 우위를 지닌 한국 자동차에 지속적인 긍정적 영향이 전망된다.


반면 트럼프 재집권 시에는 대미 자동차 수출에 타격을 입을 수 있다는 게 산업연의 예상이다.

한국 자동차산업은 지난해 289억달러의 대미 무역흑자를 기록했다.

산업연은 "트럼프 재집권의 경우 미국 자동차산업 보호를 명분으로 '보편적 관세' 대상 국가에 한국을 포함할 가능성이 높다"며 "추가 관세 부과 시 수출 물량이 현지 생산 물량으로 대체되면서 자동차 수출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국의 자동차 수출이 미국의 정책이나 시장 동향 변화에 따라 직접적인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기 때문에 미국 대선 리스크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코로나19 이후 수출 의존도가 높아진 미국 시장 외에도 동남아, 중동, 동유럽 등으로 시장을 분산시켜 특정 시장 종속에 따른 불안정성을 낮춰야 한다는 것이다.

산업연은 "전기차 외 하이브리드차, 수소전기차 등 다양한 탄소중립 기술 경쟁력을 확보해 규제와 시장, 공급망 요인에 따른 변화에 대응해야 한다"며 "또 전기차 공급망에서 중국을 배제하는 정책이 강화함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자체 공급망 구축을 강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wise@yna.co.kr
<연합뉴스>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