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뉴스

'잠 못드는 밤' 불면 장애 원인과 치료는?

장종호 기자

입력 2024-01-10 09:18

'잠 못드는 밤' 불면 장애 원인과 치료는?
 ◇김선영 교수

현대인의 고질병 중 하나가 불면증이다.



주로 ▲잠에 들기 힘들다 ▲수면 중간에 계속 깬다 ▲한번 깨면 다시 잠들기 힘들다 ▲아침에 일어났을 때 선잠 잔 것처럼 피곤하다 등의 증상을 느낄 때 불면증으로 진단한다.

이런 증상들이 3개월 이내로 있을 경우 단기 불면 장애, 주 3회 이상의 빈도로 3개월 이상 지속될 때 만성 불면 장애로 진단한다. 단기 불면 장애에서 시작돼 점차 잠에 대한 집착과 잠에 대한 과도한 걱정으로 인해 만성 불면 장애로 진행되는 경우가 대다수다.

불면증은 여러 원인이 있지만 혹시나 다른 질환으로 인한 불면증은 아닌지 주의해야 한다.

우울증이나 불안장애, 수면무호흡증, 주기성 사지 운동증, 하지불안증 등의 질환으로 인해 불면증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이때는 해당 질환에 대한 치료를 선행해야 한다.

이대서울병원 수면센터 정신건강의학과 김선영 교수는 "특별한 원인 없이 수면에 대한 강박이나 집착으로 인해 오히려 불면증이 생기도 한다"며 "이런 경우 '불면 장애'로 진단하는데,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의 진료와 인지 행동 치료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불면 장애의 치료는 우리 몸의 생체 시계에 올바른 수면 습관을 각인시키는 것에서 시작한다.

이를 위해 낮 활동 시간 동안 운동 등의 신체활동을 통해 아데노신과 같은 수면 촉진물질이 뇌에 쌓여 밤에 원활하게 수면에 진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커피 등 카페인 음료는 오전 10시 30분 이전 한 잔만 마시는 것이 좋다. 빛 또한 수면에 상당한 영향을 준다. 빛이 망막에 들어오면 수면을 위한 호르몬인 멜라토닌을 분해해 수면을 방해한다. 때문에 밝은 조명 아래서의 야근이나 취침 2시간 전 스마트폰 사용은 피해야 한다. 아울러 음주도 불면 장애를 유발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김선영 교수는 "불면 장애의 첫 번째는 정확한 취침시간의 설정이다. 낮잠을 포함해 수면을 방해하는 요소들은 최대한 배제한 채 동일한 입면 시간과 기상 시간을 지키는 것에서 치료가 시작된다"며 "초기 불면증상을 그대로 방치하면 점점 잠에 대해 집착하게 되고 예민해지면서 만성 불면 장애로 진행돼 치료가 더욱 지체되기도 한다. 불면 증상이 있다면 수면센터를 찾아 정확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를 통해 수면의 질과 삶의 질을 회복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전했다.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