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뉴스

대표팀 못간 이재현이 1억4000만원인데... 금메달 홀드왕, 신인왕은 얼마? 2022 동기들 두번째 연봉 싸움 결과는[SC 포커스]

권인하 기자

입력 2024-01-25 15:22

수정 2024-01-25 16:40

more
대표팀 못간 이재현이 1억4000만원인데... 금메달 홀드왕, 신인왕은 …
9회 역전 적시타를 날린 이재현. 22일 대전 한화생명이글스파크에서 한화와 삼성의 경기가 열렸다. 삼성 이재현. 대전=송정헌 기자songs@sportschosun.com/2023.08.22/

[스포츠조선 권인하 기자]삼성 라이온즈 고졸 3년차 내야수 이재현이 2년 연속 100% 이상 연봉 인상을 기록했다.



이제 동기들의 연봉이 궁금해진다.

삼성은 25일 재계약 대상자들의 연봉 재계약 결과를 일제히 발표했다. 2024년 재계약 결과 팀내 최고 인상률은 이재현이 차지했다. 지난해 6000만원에서 8000만원이 오른 1억4000만원에 재계약했다. 133.4%나 인상된 액수다. 지난해엔 3000만원에서 6000만원으로 100% 올랐기에 2년 연속 100% 상승의 가파른 상승세를 보였다.

이재현은 서울고를 졸업하고 2022년 삼성에 1차지명으로 입단했다. 2022년엔 75경기에 출전해 타율 2할3푼5리, 54안타 7홈런 23타점을 기록했다. 지난해엔 주전 유격수로 풀타임을 소화했다. 143경기에 출전해 타율 2할4푼9리, 114안타 12홈런 60타점을 기록했다.

이재현은 팀내에서 성장한 모습을 보였으나 아시안게임 국가대표나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APBC) 대표팀에는 뽑히지 않았다.

이재현의 연봉이 먼저 공개되면서 대표팀에서 활약한 동기들의 2024년 연봉이 궁금해질 수밖에 없다.

가장 기대를 모으는 인물은 KT 위즈의 박영현이다. 이재현과 함께 100% 인상된 6000만원에 재계약해 동기들 중 최대 인상률을 기록했던 박영현은 32홀드를 기록하며 데뷔 2년만에 홀드왕에 오르는 기염을 토했다. 플레이오프와 한국시리즈에서도 홀드와 세이브를 기록하며 KBO리그의 차세대 불펜 투수임을 입증했다. 또 아시안게임에서 불같은 강속구로 금메달 획득에도 기여했다.

KIA 타이거즈 김도영 역시 얼마나 오를지 궁금하다. 지난해 5000만원의 연봉을 받은 김도영은 지난해 부상으로 인해 84경기에만 출전했지만 타율 3할3리, 103안타 7홈런 47타점 72득점 25도루 등 호타준족의 내야수로서 빠르게 성장한 모습을 보였다.

인상률로는 한화 이글스 문동주와 KIA 최지민, 롯데 자이언츠 윤동희가 기대를 모은다. 문동주와 윤동희는 지난해 3300만원을 받았고, 최지민은 3000만원이었다.

문동주는 2년차에 신인왕을 수상했다. 팀의 배려로 23경기, 118⅔이닝을 던지고 9월 3일 LG 트윈스전을 끝으로 시즌을 마무리한 문동주는 8승8패 평균자책점 3.72를 기록했다. 풀시즌을 치렀다면 두자릿수 승리는 충분히 기록했을 페이스였다. 아시안게임에서 예선과 결승전, 두차례 대만전에 모두 등판했고, 특히 결승전에선 6이닝 무실점으로 한국을 금메달로 이끌었다. APBC에서도 첫 경기인 호주전서 5⅔이닝 무실점으로 에이스의 역할을 했다.

KIA 최지민은 첫 해인 2022년 1군에서 단 6경기만 등판했지만 지난해엔 팀에 없어서는 안될 필승조가 됐다. 58경기서 6승3패 3세이브 12홀드, 평균자책점 2.12를 기록. 아시안게임 금메달에도 큰 역할을 했고, APBC에서도 확실한 인지도를 쌓았다.

윤동희 역시 1년만에 달라진 선수가 됐다. 2022년 1군에서 단 4경기만 뛰었던 윤동희는 지난해엔 107경기에 출전해 타율 2할8푼7리, 111안타, 2홈런 41타점을 기록했다. 특히 아시안게임에서 맹활약, 타선에 큰 힘이 되며 금메달에 일조했다. 대표팀 소집 하루 전날 이의리를 대신해 대표팀 멤머가 된 윤동희는 왼손 타자가 많은 대표팀에서 우타자 외야수로 큰 경기에서 강한 모습을 보였다.

프로에서 연봉은 곧 자존심이다. 먼저 발표된 이재현의 연봉이 기준이 됐다. 동기들은 이재현을 이겼을까. 권인하 기자 indyk@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