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뉴스

"나 같은 '유학생' 그만 나와야죠"…'제주 농부'가 배트를 다시 쥔 이유

이종서 기자

입력 2024-01-04 06:58

more
"나 같은 '유학생' 그만 나와야죠"…'제주 농부'가 배트를 다시 쥔 이…
사진제공=서귀포 리틀야구단

[스포츠조선 이종서 기자] "저처럼 다시 '야구 유학'을 가지 않아도 되는 환경을 만들고 싶어요."



제주 서귀포 리틀야구단. 간신히 명맥을 이어오던 이 리틀야구단은 최근 재창단 과정을 거치면서 새롭게 태어났다.

오장훈(38)은 '거포 유망주'였다. 2008년 롯데 자이언츠에 입단해 이듬해 퓨처스리그에서 타율(0.313) 홈런(14개) 타점(71개) 3관왕에 오르는 등 남다른 타격 능력을 뽐냈다.

많은 기회를 얻지 못했던 그는 2011년 2차 드래프트로 두산으로 팀을 옮겼다. 두산의 탄탄한 야수진에 2015년 투수로 보직을 바꾸며 생존 경쟁에 나섰다. 투수로 1경기 등판해 삼진 2개를 잡아내는 등 가능성을 보여줬지만, 추가로 1군 등판없이 2016년 은퇴했다.

은퇴 이후 고향인 제주로 내려간 그는 '농부'로 변신했다. 일과는 선수 때보다 더욱 바빴다.

아침 일찍 일어나 감귤 농사를 지었다. 뛰어난 당도에 입소문을 탔고, 올해 겨울철 귤은 완판되기도 했다.

지난해부터 일과는 더욱 빡빡해졌다. 귤 농사를 지은 이후 리틀야구 선수를 위해 나섰다.

프로시절 남다른 성실함을 무기로 했던 만큼, 어린 선수들에게 그동안 쌓아온 노하우를 전달했다. 또 두 아이의 아빠인 만큼, 아이들과도 쉽게 녹아들었다.

감귤 농사로도 충분히 '제 2의 인생'을 살아갈 수 있었던 그였지만, 휴식을 반납하고 서귀포에 야구 뿌리를 내리는 이유는 하나였다. 그는 "제 2의 오장훈이 나오지 않길 바란다"고 말했다.

제주도는 야구 볼모지에 가깝다. 서귀포시에서 운영하는 팀이 있긴 했지만, 엘리트 학교로 진학하기에는 무리가 있었다. 제주도 전체를 통틀어도 야구부가 있는 학교는 고등학교와 중학교 각각 1팀, 초등학교 2팀 정도가 전부였다.

제주 서귀포 출생인 오장훈은 야구를 위해 서울로 올라갔다. 당시 리틀야구단이 제대로 갖춰지지 않았던 만큼 야구를 하기 위해서는 고향 땅을 떠나야했다.

서귀포는 과거 프로야구단 전지훈련지로 활용댔을 정도로 환경이 좋다. 오장훈은 "시설도 좋고, 날씨도 겨울에 훈련하기 무리가 없을 정도"라며 "이런 곳을 두고 멀리 가야한다는 게 아쉬웠다"고 말했다.

오장훈이 팀을 이끌면서 서귀포 리틀야구단은 리틀야구연맹에 가입하고 빠르게 재정비 과정을 거쳤다. 평일 주말반을 합치면 50명이 넘는 학생이 모였다.

현역 시절 남다른 인성으로 선수들과 원만하게 지낸 덕에 비시즌 박경수(KT) 노경은(SSG) 박병호(KT) 등 프로선수들이 찾아와 일일 레슨을 하기도 했다.

아직 어려운 부분도 있다. 전국대회에 참가하기 위해서는 많은 경비가 필요한 것. 오장훈은 "다행인 건 서귀포시 야구협회도 조금씩 관심을 가지고 도움을 주려고 하시더라"고 이야기했다.

오장훈은 "2024년에는 전국 무대도 밟고 싶고, 서귀포에 사는 아이들도 얼마든지 야구를 할 수 있다는 걸 보여주고 싶다. 여기 아이들의 야구 열정은 대단하다. 아직 야구가 낯설 수 있는 이곳에서 좋은 선수가 나올 수 있도록 초석을 다지겠다"고 밝혔다.이종서 기자 bellstop@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