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뉴스

경기도, 생활밀착형 청년공간 100곳 확보…카페·공방 등 활용

입력 2024-05-22 08:07

경기도, 생활밀착형 청년공간 100곳 확보…카페·공방 등 활용
[경기도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수원=연합뉴스) 김경태 기자 = 경기도는 카페와 공방 같은 민간 소유 공간을 활용해 청년들의 활동 공간을 확보하는 '생활밀착형 청년공간 사업'을 새롭게 추진한다고 22일 밝혔다.

이를 위해 사전 공모를 통해 용인시 등 사업 참여 14개 시군을 선정했으며, 이들 시군에서 약 100곳의 청년공간을 지정해 운영할 예정이다.

현재는 도비 또는 시군비를 지원해 조성한 청년공간 41곳(도비 지원 21곳 포함)이 운영 중이다. 이곳에서는 스터디룸, 창작·휴식, 취업·창업, 동아리 등의 프로그램을 운영했는데 지난해 43만명이 이용했다.
도는 기존 청년공간 외에 청년들의 생활반경 내 쉽게 이용할 수 있고 선호도가 높은 카페, 공방, 음악연습실, 작업공간 등 민간의 공간을 청년공간으로 추가 활용하기로 했다.

사업 대상 14개 시군은 용인, 고양, 화성, 남양주, 안산, 평택, 의정부, 광주, 하남, 양주, 구리, 안성, 양평, 동두천이다.

도비 100%로 3억원을 투입해 민간 사업장의 일부 공간을 청년들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방침이다.

시군별로 운영 시기·방법 등이 달라 주소지 시군 홈페이지를 통해 예약하고 개인 또는 단체로 사용하면 된다. 해당 공간에서 청년들이 선호하는 취미·동아리 활동에도 참여할 수 있다.

이인용 경기도 청년기회과장은 "청년공간이 멀어서 이용하지 못했던 청년들이 가까운 곳의 공간을 편하게 방문해 다양한 활동을 경험할 수 있을 것"이라며 "작지만 강한 생활밀착형 청년공간이 더욱 확대될 수 있도록 많은 청년과 공간 운영자들이 관심을 가져 주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ktkim@yna.co.kr
<연합뉴스>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