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뉴스

환절기 소변 체크해야 하는 이유…여성 '방광염', 남성은?

장종호 기자

입력 2024-04-01 09:03

more
환절기 소변 체크해야 하는 이유…여성 '방광염', 남성은?
사진제공=강남베드로병원

[스포츠조선 장종호 기자] 일교차가 큰 환절기는 면역력 저하로 각종 질병에 노출되기 쉬운 계절이다. 특히 비뇨의학과에는 남녀를 불문하고 비뇨기 질환으로 인한 통증 이상을 호소하는 환자들이 증가한다. 이 중에서도 대표적으로 꼽히는 질환이 바로 전립선비대증과 방광염이다.



통상 전립선비대증은 겨울철, 방광염은 여름철에 주로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기온차가 크게 나는 환절기에 이들 질환자들이 다수 늘어나는 양상을 관찰할 수 있다.

면역력이 떨어지는 만큼 비뇨기 건강 역시 영향을 크게 받기 때문이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2023년 3월 전립성비대증으로 병원을 찾은 환자는 48만 8484명으로, 직전 겨울 시즌인 2022년 11월~2023년 2월 기간에 대비해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하기도 했다.

▶전립선비대증, 일교차 심한 환절기 고령층 더욱 주의

특히 전립선비대증은 기온보다 일교차에 더욱 영향을 받는 질환으로 알려져 있다. 지난 2018년에는 일교차가 14도를 초과할 경우, 4도 이하일 때보다 응급실을 찾는 전립선비대증 환자가 48%가량 늘어난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기도 했다. 갑작스러운 기온의 변화는 전립선의 요도 괄약근을 자극하는 데다 전립선의 수축과 이완 작용에 부담을 주기 쉬운 탓이다.

특히 면역력이 약한 고령이라면 환절기 전립선비대증을 더욱 주의해야 한다.

강남베드로병원 비뇨의학과 전문의 양승철 원장은 "전립선은 남성호르몬에 많은 영향을 받는 기관으로, 원래 호두 정도의 크기이지만 35세부터는 크기가 커지는 조직학적 변화가 일어난다"며 "특히 전립선비대증은 40대 이후부터 서서히 시작해 60대 남성의 60%, 80대 남성의 80%가 겪을 정도로 흔한 질환"이라고 설명한다.

전립선비대증은 초기에는 특별한 증상이 없으나 전립선이 계속 커져 요도를 압박하면 배뇨 과정에서 상당한 불편감을 겪게 된다. ▲소변 줄기의 힘이 없어지며 중간에 끊기는 현상 ▲잔뇨감 ▲빈뇨 및 갑작스러운 요의 ▲배뇨에 시간이 걸리는 증상 ▲수면 중 갑작스러운 요의 등이 대표 증상으로 꼽힌다.

전립선비대증을 그대로 방치하면 배뇨 장애로 인해 요로감염, 방광결석, 콩팥기능 저하 등의 위험도 높아진다. 특히 심하게 커진 전립선이 소변 배출을 완전히 막는 급성 요폐(尿閉)가 발생하면 응급으로 소변줄을 꽂아 소변을 배출시켜야 하는 경우까지 발생한다. 그만큼 미리 증상을 꼼꼼히 체크하고 치료 시기를 놓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전립선비대증 증상을 점수화한 '국제전립선증상점수(International Prostate Symptom Score, IPSS)' 기준 20~35점 이상이 나오면 즉시 전문의를 찾아 진단을 받아보는 것이 좋다.

초기 환자의 경우 약물 및 대기관찰요법 등으로 치료가 진행되지만, 일정 수준 이상 질환이 진행된 경우에는 시술 및 수술적 치료가 필수적이다. 70세 이상 환자이거나 전립선이 지나치게 비대해진 경우에는 한번의 시술로 오랜 기간 효과를 볼 수 있는 경요도전립선 절제술을 고려해볼 수 있다. 그러나 전립선을 절제하지 않아도 될 경우에는 유로리프트(전립선결찰술) 시술도 권장할 만하다.

최근 주로 시행되는 유로리프트 시술은 상대적으로 부작용이 적고 간단한 시술로 각광받는 추세다. 유로리프트는 비대해진 전립선의 측엽을 당겨 묶어 줌으로써 요도를 넓게 확장해 주는 시술이다. 조직을 절제하거나 태우지 않는 수술인 만큼 발기부전 및 요실금 등 합병증이 적다. 시술 시간 또한 15~20분 정도로 짧고 일상 복귀도 빠르다. 시술 효과가 즉각적으로 나타나는 것 또한 장점이다.

양승철 원장은 "유로리프트 시술은 환자의 부담이 적은데다 최소한의 마취로 진행이 가능한 만큼, 고령 환자 및 복합질환자에게 권하기 좋다"며 "그러나 전립선이 지나치게 비대해진 경우에는 시술 진행이 어려울 수 있으므로, 무작정 증상을 참기보다는 적정 시기에 내원해 진단을 받는 것이 관건"이라고 설명했다.

▶요로 감염으로 나타나는 방광염, 악화 땐 신장까지 위험

요로 감염으로 인한 염증성 질환인 방광염은 '방광에 생기는 감기'라는 별칭을 가지고 있으며, 여성 2명 중 1명이 평생 한 번 이상 겪을 정도로 흔한 질환 중 하나다. 특히 피곤하거나 체력 저하 등 면역력이 떨어지는 상태에서 주로 앓게 되는 만큼 환절기 시즌에 주의가 필요한 질환이기도 하다.

방광염의 가장 대표적인 증상은 소변을 볼 때 통증이 느껴지는 배뇨통이다. 소변의 빈도가 증가하는 빈뇨, 잔뇨감, 갑작스럽게 소변이 마려운 급박뇨 등도 함께 나타나는 증상이다. 증상이 심한 경우에는 소변에 피가 섞이는 혈뇨 증상도 나타난다.

양승철 원장은 "이러한 증상이 한두 가지 이상 갑작스럽게 나타나게 되면 급성 단순 방광염일 가능성이 높은데, 보통 소변 검사를 통해 방광염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고 전했다.

방광염 자체는 흔하게 나타나는 평범한 질환이며 자연적으로 호전되는 경우도 있지만, 이를 그대로 방치할 경우 만성 방광염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특히 대장균, 포도상구균, 장구균 등 세균 및 바이러스가 자칫 요관을 타고 역류하여 신우와 신장까지 올라가면 신우신염까지 발전할 위험이 있다. 신우신염이 반복되면 혈액투석이 필요할 정도로 컨디션이 나빠질 수도 있다. 따라서 가급적 병원을 찾아 항생제와 진통제 등을 처방받고, 충분한 수분 섭취 및 규칙적 배뇨 등 미리 방광염을 예방하는 생활 습관 등을 들이는 것이 중요하다.

양승철 원장은 "전립선 비대증과 방광염은 흔한 질환으로 여겨지는 만큼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고 넘기는 경우가 많지만, 삶의 질을 상당히 떨어뜨리는 데다 자칫 병증이 악화되면 심각한 합병증을 불러올 위험이 있다"며 "특히 환절기는 면역력이 저하되기 쉬운 만큼 남녀 모두 비뇨기 건강을 주의 깊게 살피고, 이상 증상이 발생하면 병원을 찾아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을 권장한다"고 덧붙였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