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뉴스

국내 대기업 사외이사 법률·정책과 재무·회계 분야 편중

강우진 기자

입력 2024-02-20 10:12

국내 대기업 사외이사들의 전문성이 법률·정책과 재무·회계 분야에 편중되면서 이사회의 전문적 다양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리더스인덱스에 따르면 30대 그룹의 계열사 중 사외이사 827명의 이사회 역량을 분석한 결과, 2개 분야인 법률·정책 분야와 재무·회계·세무 분야에 51.0%가 몰렸다.

분야별로 보면 7개 분야 중 법률·정책 관련 역량에 대해 전문성이 있는 사외이사가 225명(27.2%)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사외이사들 중 관료출신과 법조계 출신 및 법학 교수들이 이에 해당되며 관료, 법조 출신 사외이사를 선호하는 현상이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다음으로는 재무·회계 분야의 전문 역량이 있어서 선임했다고 배경을 밝힌 사외이사들이 197명으로 23.8%를 차지했다. 다음으로 금융·투자 분야 전문 역량 사외이사가 124명인 15.0%, 기술 분야가 114명(13.8%), 기업 경영 분야가 105명(12.7%), 마케팅 분야가 33명(4.0%) 순이었다. ESG관련 환경,고용,노동 분야는 29명(3.5%)이었다.

그룹별로 보면 삼성그룹 16개 계열사의 사외이사 59명 중 23명(39.0%)이 법류·정책 분야로 이 비중이 가장 컸다. 재무·회계 분야에 비중이 가장 큰 그룹은 중흥건설, 네이버, HD현대 그룹 등으로 50% 수준이었다. 기술 분야 전문 역량에 가장 많은 사외이사를 보유한 그룹은 현대자동차그룹(28.8%), HDC(20.0%), LG그룹(18.4%) 순이었다. ESG 분야에서 가장 많은 수의 사외이사를 보유한 그룹은 포스코그룹(14.3%), 영풍그룹(13.3%), 카카오그룹(12.9%) 순이었다.강우진 기자 kwj1222@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




Copyright sports.chosun.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