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뉴스

글로벌 '빅3' 굳힌 현대차그룹…'빅2'도 가시권?

강우진 기자

입력 2024-02-18 10:52

수정 2024-02-18 16:40

more
글로벌 '빅3' 굳힌 현대차그룹…'빅2'도 가시권?
◇현대자동차그룹 CI.

현대자동차그룹이 지난해 글로벌 완성차 '빅3' 굳히기에 들어갔다. 현대자동차와 기아, 제네시스가 양적성장을 지속한다면 현대차그룹이 '빅2'까지 노려볼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18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현대차그룹은 지난해 전 세계에서 730만4000대를 판매했다. 토요타그룹(1123만3000대), 폭스바겐그룹(924만대)에 이은 글로벌 판매량 3위다,

현대차그룹은 지난 2022년에 이어 2년 연속 같은 순위를 지키며 빅3로서의 입지를 다지고 있다. 현대차그룹 다음으로는 르노-닛산-미쓰비시 얼라이언스(639만9000대), GM그룹(618만8000대), 스텔란티스그룹(617만5000대) 등이 뒤를 이었다. 현대차그룹은 지난해 4위를 차지한 르노-닛산-미쓰비시 얼라이언스와의 판매량 차이를 90만5000대로 벌렸다. 2022년에는 68만8000대의 차이를 보였다.

현대차그룹의 글로벌 판매 순위는 지난 20여년간 꾸준히 상승해 왔다. 2000년 10위로 시작했던 현대차그룹은 꾸준히 순위가 오르다가 2010년 포드를 제치고 처음으로 '톱5'에 올랐다. 이후 오랜 기간 5위에 머무르던 현대차그룹은 2020년 4위에 이름을 올렸다. 2021년에는 다시 5위로 떨어졌지만 2022년 두 계단 뛰어오르며 3위에 올랐고, 같은 순위를 2년간 유지하고 있다.

2022년 현대차그룹은 6대 자동차그룹 중 유일하게 플러스 성장률(2.7%)을 기록했다. 다만 지난해에는 토요타그룹과 폭스바겐그룹이 각각 7.2%, 11.8%의 판매 증가율을 보이면서 현대차그룹(6.7%)보다 높은 성장세를 보였다. 이에 따라 현대차그룹이 빅2로 진입하기 위해서는 양적 성장을 지속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현대차그룹의 미래에 대해서는 긍정적 전망이 우세하다.

올해 고금리 등에 따른 수요 둔화로 글로벌 자동차시장은 보합세가 전망된다. 그러나 현대차그룹은 빠른 전동화 전환과 미국 전기차공장(HMGMA) 완공 등에 따른 생산 역량을 확대해 양적 성장을 지속할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해와 같은 질적 성장도 이뤄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현대차그룹은 지난해 합산 영업 이익률 10.2%를 기록하며 테슬라 등 글로벌 유수 업체를 뛰어넘는 수익성을 기록했다.

신용평가사들은 일제히 현대차그룹의 신용등급을 상향조정하고 있다. 글로벌 신용평가사 피치는 16일 현대차와 기아의 신용등급을 기존 BBB+에서 A-로 상향 조정했다. A-는 피치 20개 신용등급 중 상위 7번째에 해당하는 것으로, 신용위험이 크게 낮다는 의미다. 앞서 신용평가사 무디스도 현대차·기아의 신용등급을 기존 Baa1에서 A3로 상향 조정된 바 있다.

피치로부터 A등급을 받은 주요 글로벌 자동차 기업은 토요타, 메르세데스-벤츠 등 7곳에 불과하다.

피치는 현대차·기아의 수익성 개선, 재무적 완충력, 다양한 제품 포트폴리오 등을 높게 평가했다. 구체적으로 SUV(스포츠유틸리티차량) 등 고부가가치 차종 중심의 제품 믹스 개선, 주요 시장 점유율 및 브랜드 경쟁력 강화, 미국·유럽 전기차 시장에서의 견고한 시장 지위 등 사업 경쟁력 개선 요인을 신용등급 상향 사유로 꼽았다.

피치는 "지난해 현대차와 기아는 지속적인 제품믹스 개선, 탄력적인 가격정책 및 원화 약세 등에 힘입어 견조한 매출과 이익 성장을 기록했다"며 "2024년 현대차와 기아의 합산 영업이익(EBIT) 마진이 최근 3~4년 평균을 상회해 중기적으로 9% 이상을 유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아울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역시 현대차·기아의 신용등급 전망을 '안정적'에서 '긍정적'으로 상향 조정해 신용등급 BBB+에서 A 등급으로의 상향이 예상되고 있다.강우진 기자 kwj1222@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