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뉴스

'온라인·무인 확대' 유통가 지각변동…일자리 판도 변화, 판매 종사자 10년 간 45만명 '↓'

김세형 기자

입력 2024-01-29 13:24

정보통신기술(ICT) 발전에 따라 국내 일자리 판도 변화가 이뤄진 것으로 조사됐다. 영업·판매직(판매) 종사자 수가 크게 줄었다. 국내 주요 산업군 중 유통업계가 가장 큰 변화를 겪으며, 일자리 개편이 이뤄졌기 때문이다.



29일 통계청과 유통업계 등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취업자 중 판매 종사자는 262만 1000명이다. 전년 대비 6만명 가량 줄어든 수치다. 2013년과 비교하면 45만 3000명이 줄었다.

판매 종사자는 물건 판매 관련 업무를 담당한다. 의류·화장품·가전제품·가구·음식료품 등의 판매원을 비롯해 카운터 계산원·캐셔 등 매장 계산원, 자동차 영업사원, 보험설계사, 신용카드 사원 등을 떠올리면 이해가 쉽다.

판매 종사자의 감소 배경으로는 최근 10년 오프라인 중심의 소비가 온라인 소비로 옮겨간 소비 트렌드가 배경으로 꼽힌다. ICT 발전과 함께 편리한 소비에 대한 소비자의 니즈가 확대되고 있다는 점에서 온라인 소비세는 확대되고 있다. 코로나19 등을 겪으며 온라인 소비에 익숙함을 느끼는 소비자가 늘어난 점도 한몫 거든다.

판매 종사자 감소 폭은 2019년 7000명 수준에서 코로나 첫해인 2020년 13만 3000명으로 커졌고, 2021년에도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판매 종사자의 빈자리는 무인 계산대와 키오스크, 서빙 로봇 등으로 대체됐다.

이마트의 지난해 6월 말 기준 직원 수는 2만 3000여명으로 코로나 사태 전인 2019년 6월 말 2만 5000여명과 비교해 2000명이 줄었다.

홈플러스와 롯데마트는 각각 전년 대비 3000명, 2000명 가량이 감소했다.

이마트는 149개 매장에 셀프 계산대를 설치했고 롯데마트는 현재 110개 점에서 1000여 대, 홈플러스는 90여 개 매장에 500여 대를 운영 중이다.

편의점 업계는 24시간 내내 계산원이 없는 '완전 무인 매장'과 야간에만 무인으로 운영하는 '하이브리드 매장'을 늘렸다. GS25의 완전 무인 매장과 하이브리드 매장은 2019년 7개와 9개에서 작년 82개와 734개로 각각 급증했다. CU의 하이브리드 매장도 400여개로 전체의 2%를 차지한다. 편의점 업계는 인공지능(AI) 편의점도 시험 운영 중이다. 대형 화장품·의류 업체의 상황도 비슷하다. 코로나19를 겪으며 로드샵이 감소했고, 판매 직군의 신규 채용 규모를 줄이며 인력 조절에 나서고 있다. ICT 발전과 함께 유통업계를 중심으로 산업 구조가 온라인 중심으로 급격히 변화하는 시대적인 흐름 등을 반영한 움직임이다.

일례로 온라인쇼핑 거래액은 매년 늘고 있다. 2017년 94조원에서 2018년 113조원, 2019년 137조원, 2020년 158조원, 2021년 190조원, 2022년 210조원 등이다. 온라인쇼핑의 지난해 1∼11월 거래액은 전년 동기 대비 8.4% 증가한 207조원을 기록했던 만큼, 지난해 사상 최대를 경신할 것으로 전망된다.

소비패턴이 온라인 중심으로 무게추를 옮겨감에 따라 오프라인의 판매 종사자 인력 축소가 가속화될 수 있다는 관측이다. 유통업계의 경우 최근 높아진 인건비에 대한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측면에서 키오스크, 로봇 도입 확대 등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최근 무료배달 및 반품 등 다양한 서비스 확대 등을 통해 온라인 쇼핑의 편리성이 오프라인 매장과 비슷해지고 있다"며 "오프라인 매장 자체가 사리지지 않겠지만, 기술적인 대체로 인한 인건비 및 관리비 절감 노력은 확대 되고 있다"고 말했다.

김세형 기자 fax123@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