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뉴스

지난해 국내 쌀 가공식품 수출액, 2억 달러 첫 돌파

남정석 기자

입력 2024-01-29 11:08

지난해 쌀 가공식품 수출액이 사상 최대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석밥과 냉동 김밥, 떡볶이 등 이른바 K푸드가 세계 각국에서 인기를 끌었기 때문이다.

29일 농림축산식품부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등에 따르면 지난해 쌀 가공식품 수출액은 2억1723만9000달러(약 2900억원)로 처음으로 2억달러를 넘어섰다. 이는 전년(1억8182만1000달러)보다 19.5% 증가한 것으로, 연간 쌀 가공식품 수출액은 2015년 이후 매년 증가세를 보였다.

2015년 5434만2000달러에서 2016년 6652만9000달러로 증가했고, 2018년 8940만8000달러에 이어 2019년 1억858만9000달러로 처음 1억달러를 넘었다. 이어 증가세를 거듭하며 1억달러를 넘은 4년만인 지난해 2억달러까지 돌파한 것이다.

지난해 수출국별 수출액을 보면 미국이 1억1480만1000달러(52.8%)로 전체의 절반을 넘었다. 이어 베트남(1499만달러), 유럽연합(영국 포함·1489만3000달러), 일본(1258만3000달러) 등의 순이었다.

해외에서 우리 쌀 가공식품 수요가 늘어난 데는 간편식, 건강식에 대한 관심이 커진 것이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업계 전문가들은 전세계에 널리 보급돼 있는 전자레인지로 쉽고 간단히 조리할 수 있는데다, 한국 음식이 '건강식'으로 인식되고 있는 것 등 다양한 요인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K팝 등 K콘텐츠에 대한 글로벌 팬덤이 커지면서 음식까지 인기가 커진 것도 한 몫 했다고 할 수 있다.

전한영 농림축산식품부 식량정책관은 지난 23일 브리핑에서 "주력 시장이 앞으로도 크게 성장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있다"며 "국가별로 수출 제품을 정해 우리 기업의 판촉, 바이어 매칭 등을 적극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정부는 쌀 가공산업 성장을 지원하기 위해 앞서 '제3차 쌀 가공산업 육성 및 쌀 이용 촉진에 관한 기본계획'(2024∼2028)을 수립하고, 2028년까지 국내 쌀 가공산업 시장을 17조원 규모로 키우고 이 분야 수출액을 4억달러(약 5400억원)로 확대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남정석 기자 bluesky@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