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뉴스

깁스 푼 뒤 손목이 붓고 아픈 이유, 알고보니…

장종호 기자

입력 2024-01-25 08:45

깁스 푼 뒤 손목이 붓고 아픈 이유, 알고보니…
자료제공=나누리병원

겨울철 골절 부상을 조심해야 한다. 특히 눈이나 비가 온 뒤 미끄러운 길에서 낙상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이때 골절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낙상사고로 인한 골절은 손목에서 많이 발생하는 데, 넘어질 때 대부분 손으로 바닥을 짚기 때문이다.



손목 골절은 X-ray 등 영상 검사 후 골절 상태에 따라 보존적 치료나 수술적 치료 후 공통적으로 깁스로 고정시킨다. 이 깁스는 짧으면 2주, 길면 한 달 이상 고정 후 풀게 되는데, 이때 골절 부위에 통증이 있을 수 있다.

깁스를 풀고도 통증을 느끼면 '수술이 잘못 됐나?', '뼈가 덜 붙었나?' 등의 불안감을 느낄 수 있는데, 크게 걱정할 필요는 없다.

주안나누리병원 관절센터 최원락 과장은 "골절로 인한 깁스를 제거하기 전 X-ray 등의 검사로 뼈의 유합 상태를 먼저 확인하고 결정한다. 따라서 뼈가 붙지 않은 채 깁스를 제거하는 경우는 굉장히 드물다"면서 "깁스를 풀고 나서 나타나는 대부분의 통증은 관절이 굳어 발생하는 구축현상으로 인한 것이다. 따라서 굳은 관절을 풀어주는 재활운동을 꾸준히 해주면 증상이 호전된다"고 말했다.

만약 깁스를 제거한 뒤 골절 부위를 손으로 눌렀을 때 심한 통증이 발생하면 정밀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다. 하지만 움직일 때 뻐근한 통증이 나타난다면 관절이 굳어 생기는 일시적인 증상이다. 붓기도 마찬가지다. 깁스로 인해 혈액이 정상적으로 흐르지 않아 부종이 생길 수 있지만, 깁스를 제거하면 혈액순환이 원활해지기 때문에 시간이 지나면 정상적인 모습으로 돌아온다.

최원락 과장은 "깁스를 푼 뒤 관절이 굳어 발생하는 통증과 부기를 가라앉히기 위해서는 손목을 위아래로 스트레칭 해주는 운동과 온찜질이 도움이 될 수 있다. 만약 통증으로 재활이 힘들다면 주치의와 상의 후 통증을 가라 앉히는 약을 복용하면서 적극적으로 재활운동을 하는 것이 빠른 회복에 도움이 된다"고 조언했다.

다만 드물지만 복합부위통증증후군이 발생할 수 있어 주의는 필요하다. 복합부위통증증후군은 외상 후 특정 부위에서 발생하는 신경병성 통증으로 장기간 깁스 착용 후 골밀도가 낮아지고 뼈가 약해지면서 나타날 수 있다. 만약 깁스 제거 후 골절 부위나 인접 부위 등 특정 부위에서 작은 충격에도 심한 통증이 발생된다면 반드시 주치의와 상의 후 적극적인 재활과 치료를 받아야 한다.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