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뉴스

'책임 없는 권한' 대기업 총수 4명 미등기 임원으로 356억원 수령

강우진 기자

입력 2024-01-01 10:43

국내 10대 대기업집단 총수(동일인) 중 6명은 이사회 구성원이 아닌 미등기 임원으로 경영에 참여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공정거래위원회에 따르면 10대 대기업집단(삼성, SK, LG, 한화, 현대차, 롯데, GS, CJ, HD 현대, 신세계) 중에서 미등기 임원으로 계열사에 등재된 총수는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 이재현 CJ그룹 회장, 이명희 신세계그룹 회장이었다.

이들 중 4명은 미등기 임원으로서 지난 2022년 연간 총 356억원의 보수를 받은 것으로 집계됐다. 2022년 사업보고서 기준으로 미등기 임원으로 등재된 회사에서 보수를 받은 총수는 이재현 회장, 신동빈 회장, 이명희 회장, 김승연 회장이었다.

이들 4명 중 가장 많은 보수를 받은 총수는 이재현 회장이었다. 이 회장은 CJ를 비롯해 CJ 대한통운, CJ CGV, CJ ENM, CJ 제일제당까지 총 5개 회사에 미등기 임원으로 등재됐다. 이 중 CJ와 CJ ENM, CJ제일제당 3곳에서 1년간 약 221억4000만원의 보수를 수령했다.

같은 기간 CJ, CJ ENM, CJ제일제당 3사 대표이사들에게 지급된 보수의 총액은 78억9000만원으로 이재현 회장이 수령한 보수의 3분의 1 수준이었다.

신동빈 회장도 롯데쇼핑과 롯데물산, 호텔롯데 3곳에서 미등기 임원으로 등재돼 52억5000만원의 보수를 수령했다. 이명희 회장은 신세계와 이마트에서 46억8000만원을 미등기 임원 보수로 챙겼다. 김승연 회장은 한화에서 36억원을 받았다.

2022년 총수들이 미등기 임원으로서 받은 보수의 총액은 356억7000만원이었다. 같은 기간 등기 대표이사 중 보수 총액이 가장 높은 1명을 기준으로 봤을때 이사회에 등재된 대표이사들에게 지급된 보수 총액은 175억8000만원이었다. 사실상 미등기 임원들이 받은 보수의 총액이 대표이사들보다 2배 가량 높은 셈이다.

이 때문에 대기업 총수들이 등기 임원으로서 감당해야 하는 경영 의무와 책임 등을 회피하면서 큰 보수를 챙기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일부는 총수 2세들도 미등기 임원으로 경영에 참여하고, 보수를 챙기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0대 그룹 중 계열사에 미등기 임원으로 등재된 총수 2세는 김동원 한화생명보험 최고글로벌책임자, 신유열 롯데케미칼 신사업담당, 정기선 HD 현대중공업 사장, 김동선 한화갤러리아 전략본부장, 정용진 이마트 총괄부회장, 정유경 신세계 총괄사장, 이경후 CJ ENM 브랜드전략실장, 이선호 CJ 제일제당 식품성장추진실장, 허윤홍 GS건설 사장 등이었다.

이 중 2022년 사업보고서 기준으로 보수를 받은 사람은 정용진 부회장(36억2000만원), 정유경 사장(35억1000만원), 김동원 최고글로벌책임자(10억8000만원)이었다.

한편, 총수가 있는 64개 공시대상기업집단 소속회사 2602곳 중 총수일가가 1명 이상 미등기임원으로 재직한 회사의 비율은 5.2%(136곳)였다. 총수일가가 미등기임원으로 재직하는 회사의 비율은 비상장사(3.3%) 보다 상장사(20.6%)가 약 6.2배 높았다.

전체 분석대상 회사 중 총수일가가 미등기임원으로 재직한 회사 비율은 집단 간 큰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이트진로가 46.7%(15개사 중 7개사)로 가장 컸으며 그 다음으로는 DB, 유진, 중흥건설, 금호석유화학 등 순이었다.강우진 기자 kwj1222@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