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뉴스

투수가 유리해? '전세계 최초 도입' AI 심판 향한 현장의 시선 [SC포커스]

김영록 기자

입력 2024-01-29 12:01

수정 2024-01-30 07:31

more
투수가 유리해? '전세계 최초 도입' AI 심판 향한 현장의 시선
ABS를 도입한 2021 퓨처스리그. 스포츠조선DB

[스포츠조선 김영록 기자] "스트라이크존이 2차원에서 3차원으로 바뀐 거다. 그만큼 존이 넓어진 효과가 있다."



세계 최초 ABS(자동볼판정 시스템, 일명 AI 심판)가 도입되는 KBO리그. 과연 어떻게 바뀔까. 이론으로만 배웠던 존이 현실화된다.

'투수에게 유리하다'는 의견이 대세다. 머릿속에 그렸던 사각형의 존이 7면체의 3차원으로 바뀌면서 타자들에겐 혼란이 예정된 상황. 특히 투심이나 커브 등 떨어지는 구종을 지닌 투수에게 유리할 거란 시선이 많다. 하지만 원바운드로 들어오는 낙차 큰 스트라이크 외에 좌우로 휘어나가는 공도 큰 각도를 그리며 빠져나간다 생각하면 '공포스럽다'는 반응까지 나온다. 잡는 위치(로케이션)에 따라 판단하던 과거의 존과는 완전히 다른상황에 직면할 수 있다.

투수들 입장에선 굳이 그렇게 날카로운 제구를 의식하지 않더라도 크게 나쁠게 없다는 시선. 상대적으로 마음에 여유를 갖고 던질 수 있다.

하지만 "투수도 적응하기 쉽지 않다"는 소수 의견도 있다.

적응하는 속도에 있어 투수보단 타자 쪽이 빠를 거라는 주장이다. 일각에서는 "어차피 한국 투수 중 그 만큼 핀포인트 제구가 가능한 투수는 많지 않다. 에이스 레벨의 일부 투수들에겐 큰 힘이 될 수 있겠지만, 전체적으로 바뀌는 모습이 크진 않을 것"이라고 본다. 어차피 4분할 코너에 꽂는 것도 쉽지 않은 게 현실이라는 이유다.

ABS는 현재 메이저리그에서조차 1부리그에 적용하지 않은 시스템이다. 본격적으로 분석하고 연구되는 건 올해 KBO리그가 처음이다. 미국과 일본에서도 주목하는 이유다.

때문에 초창기에는 투수 타자 모두 굉장히 예민하게 불만을 제기할 수 있다. 다만 유불리 여부는 최소한 2~3개월 후 데이터가 쌓인 뒤에야 이야기할 필요가 있다.

무엇보다 동일한 존이 모든 구장에 일률적으로 적용된다는 점, 시스템적으로 '조정'이 가능하다는 게 장점이다. 때문에 우려보다는 기대감이 더 크다. 장단점이 존재하더라도 폐지를 논의하기보단 고쳐나가면 된다는 목소리가 큰 이유다.

롯데 자이언츠 이인복은 주무기가 떨어지는 구종인 투심임에도 색다른 의견을 제시했다. 오히려 높은 존을 공략하는 투수에게 유리하다는 것.

"사실 그동안 높은 쪽 스트라이크는 잘 잡아주지 않았다. 그런데 떨어지는 변화구가 높은 쪽에서 떨어지면, 타자들은 실제보다 더 높게 판단하기 마련이다. 그런데 스트라이크가 선언되면 타자들이 많이 당황할 것 같다. 아마 투수나 타자 모두 더 머리싸움이 복잡해지는 계기가 되지 않을까 싶다."

김영록 기자 lunarfly@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