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뉴스

1경기에 볼넷 30개+@ "이게 야구냐?"…올해 KBO리그서도 볼 수 있습니다

박상경 기자

입력 2024-01-15 06:40

more
1경기에 볼넷 30개+@ "이게 야구냐?"…올해 KBO리그서도 볼 수 있…
◇스포츠조선DB

[스포츠조선 박상경 기자] 지난해 한 고교야구 경기에선 양팀 합계 볼넷이 30개 이상 나오는 웃지 못할 상황이 벌어졌다.



스트라이크존 공략에 어려움을 겪을 수도 있는 학생 선수들이라고 해도 지나치게 많은 숫자.

대한야구소프트볼협회(KBSA)이 도입한 자동 투구 판정 시스템(ABS) 하에 치러진 경기였다. 이 경기 외에도 두 자릿수 볼넷이 양산되면서 ABS 도입이 과연 옳은건지에 대한 갑론을박이 이어지기도 했다.

올 시즌 KBO리그에 도입될 ABS의 쟁점은 '완벽성'에 맞춰져 있다.

KBO가 2020년부터 4년 간 퓨처스(2군)리그에 ABS를 시범도입했으나, 고개를 갸우뚱하게 만드는 판정도 더러 있었다는 것. 스트라이크존 앞에서 낙차가 크게 떨어지는 공이나 위-아래로 걸쳐 들어오는 공이 스트라이크 판정을 받는 경우가 지적됐다.

ABS 도입 이후 야구계에선 부정적 효과보다 긍정적인 면에 좀 더 포커스를 맞추고 있다.

매 이닝마다 100% 일관될 수 없는, 사람이 하는 판정보다 기계식 판정이 양팀 모두에게 공평할 거란 주장이다. 매번 반복됐던 판정 시비 논란과 그로 인한 감정 소모가 줄어드는 것 만으로도 경기에는 도움이 될 거란 의견이 우세하다.

문제는 이런 ABS 적용 후에도 KBO리그 볼넷 숫자가 과연 줄어들 수 있느냐 여부다.

KBO는 2022시즌부터 스트라이크존을 확대 적용했다. 잇단 국제대회 부진 및 투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조치. 2022시즌 페넌트레이스 720경기에서 나온 볼넷 숫자는 총 4930개, 9이닝 당 평균 볼넷 숫자는 3.45개였다. 하지만 스트라이크존 확대 2년 차인 2023시즌 총 볼넷 숫자는 5140개, 9이닝 당 평균 볼넷 숫자는 3.60개로 오히려 늘어났다. 투수 평균자책점도 4.06에서 4.14로 상승했다.

ABS가 적용되는 올 시즌 투수보다는 타자들의 적극성이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소위 '걸치는 공'이 스트라이크 판정을 받을 확률이 높아질 것으로 보이기에 보다 적극적인 노림수를 갖고 타석에 들어설 공산이 크다. 제구가 유리한 투수들이 이득을 볼 수도 있으나, 이런 타자의 노림수를 파고 들려다 오히려 ABS에 의해 볼넷이 양산되는 상황이 만들어질 수도 있다. 특히 스트라이크라고 생각했던 공이 ABS에 의해 볼 판정을 받으면서 심리적으로 무너지게 되는 상황이 시즌 초반에 적지 않을 것이란 예측도 있다. 시즌을 준비하는 포수들이 투수의 심리적 안정을 위해 프레이밍을 유지하려 하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결국 올 시즌 마운드의 관건은 '컴퓨터 제구력'이 될 것으로 보인다.

ABS 도입을 계기로 적극적으로 변모할 수밖에 없는 타자들의 방망이를 피하고, 미세한 차이로 스트라이크-볼을 가르는 ABS를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선 제구력이 필수다.

무더기 볼넷과 대량 실점이라는 ABS의 그림자를 피하기 위한 최선의 방법, 결국 기본에 충실하는 수밖에 없다.

박상경 기자 ppark@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