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뉴스

금리 매력에 녹색채권 발행 증가…ESG펀드 부진과 대비

입력 2024-06-20 13:04

금리 매력에 녹색채권 발행 증가…ESG펀드 부진과 대비
[권도윤 제작] 일러스트


1분기 녹색채권 발행 1천959억 달러…전 분기보다 43%↑



(서울=연합뉴스) 차병섭 기자 = 최근 금리 매력이 커진 녹색채권 시장에 투자자들이 유입되면서 해당 채권 발행액이 급증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왔다.

19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비영리기구 국제기후채권기구(CBI)는 친환경사업(녹색프로젝트) 자금 조달에 사용되는 녹색채권 발행액이 1분기에 1천959억 달러로 전 분기 대비 43% 늘어났다고 발표했다.

1분기 녹색채권이 가장 많이 발행된 시장은 미국(276억 달러)이었고, 신흥시장에서의 발행도 늘고 있다.

녹색채권 발행액은 올해 1조 달러에 이를 것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녹색채권을 포함해 사회적채권, 지속가능연계 채권 등의 발행액 합계는 1분기 2천730억 달러로 기록적 수준을 기록했다.

녹색채권 발행액 증가에는 다른 채권 상품과 마찬가지로 고금리 환경이 영향을 끼쳤다는 분석이 나온다.

여기에 더해 녹색채권 금리가 일반적인 채권보다 낮은 이른바 '그리니엄'(녹색채권의 가격 프리미엄)이 줄어든 것도 긍정적 영향을 끼쳤다. 최근 들어 금리 면에서 크게 손해를 보지 않고도 녹색채권에 투자할 수 있는 환경이라는 것이다.

자산운용사 나인티원의 신흥시장 회사채 공동부문장인 앨런 시오는 "투자자들이 녹색채권을 (다른 채권과) 같은 가격에 사더라도 공짜로 친환경 라벨을 얻게 된다"면서 "투자자들이 녹색채권을 원하고 있다"고 말했다.

블랙록의 데이비드 올커는 녹색채권 발행이 계속 증가할 것으로 보면서 "시멘트 등 탄소배출이 많은 산업에서 탈탄소 프로젝트의 자금 조달을 위해 점점 더 많이 활용하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FT는 이러한 흐름이 ESG(환경·사회적·지배구조) 주식형 펀드에서의 자금 이탈과 대비된다고 평가했다.

ESG 펀드 부진에는 낮은 수익률, '그린워싱'(친환경이 아니면서 친환경인척하는 행위) 논란, 미국 공화당의 ESG 투자 반대 캠페인 등이 영향을 끼치고 있다.

bscha@yna.co.kr
<연합뉴스>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