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뉴스

'아시안게임 직격탄' 인천, 해체설의 진실은?

박찬준 기자

입력 2014-10-29 15:45

수정 2014-10-30 09:00

'아시안게임 직격탄' 인천, 해체설의 진실은?


"우리 팀 어떻게 되는 거에요? 진짜 소문대로 해체해요?"



인천 유나이티드를 둘러싼 흉흉한 소문, '해체설'은 과연 진실일까. 해마다 재정 압박에 시달리던 인천이 이번에는 해체설로 흔들리고 있다. 구단 안팎에서 나오는 소문을 조합해보면 꽤 일리 있어 보인다. 알려진대로 인천시는 인천아시안게임으로 천문학적인 빚을 떠안았다. 현재 내년 예산안을 두고 조정 작업 중인 인천시는 계속된 재정 문제로 골칫덩이가 된 인천을 해체시키려 한다는 것이 소문의 실체다.

실제로 인천시는 유관기관의 대규모 예산 삭감을 계획 중이다. 인천도 이 흐름을 피하기 어렵다. 인천시는 매년 40억원씩 주던 구단 지원금을 내년 10억~20억원대로 축소시킬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더 나아가 내후년부터는 아예 구단 지원을 중단할수도 있다는 입장이다. 이것이 사실일 경우 인천은 가뜩이나 어려운 상황에서 파행운영이 불가피하다. 현재 인천은 최악의 상황이다. 올해 발표된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인천은 자산총계 33억7000만원에 부채총계 135억2000만원으로 자본총계가 마이너스 101억원에 달한다. 언제 무너져도 이상하지 않은 상황이다. 최근에는 9월 인천공항공사의 후원금 지급이 늦어지며 이번달 급여도 지급하지 못했다. 더 큰 문제는 인천공항공사가 매년 20억원씩 5년간 지급하기로 한 후원금과 시금고인 신한은행의 후원금 등을 제외하면 이렇다할 수입원이 없다는 점이다. 올 4월부터 시작돼 10억원 가량의 수익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던 액화석유가스(LPG) 충전소 수익사업마저 사실상 무산됐다. 인천이 직접 운영하고 있는 인천축구전용경기장은 아직 수익으로 이어질 수 있는 구조가 아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시의 지원마저 끊길 경우 더 큰 재정적 위기를 맞을 수 있다.

현재까지는 해체와 관련한 구체적인 움직임은 보이지 않고 있다. 해체까지 이어질 경우 파장이 만만치 않기 때문이다. 김광석 인천 대표이사는 "아직까지 시로부터 직접적인 이야기를 들은 것은 없다. 힘든 상황인만큼 시 안팎에서 여러가지 설이 나오는 것으로 보인다. 인천이 시민주주로 완성된만큼 극단적인 선택을 할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했다. 인천은 지난 2003년 8월1일, 4만7291명의 시민주주가 참여해 창단됐다. 시민주의 주식 지분율은 58.0%이고, 지난 6월30일 현재 인천시체육회가 13.4%의 지분을 보유한 것으로 알려졌다. 인천은 흑자 운영에 성공하며 시민구단의 모범으로 꼽혔다. 하지만 지난 민선 5기 당시 남북경협의 상징으로 중국 단둥에 축구화 공장 건설 등을 무리하게 진행하며 적자가 누적됐다. 현재 축구화 공장은 월급을 지급하지 못할 정도로 파행을 겪고 있다. 인천시는 이 문제에 대해서도 책임을 미루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프런트는 조금이라도 자금을 끌어오기 위해 백방으로 뛰고 있지만, 여러가지 걸림돌에 막혀있다. 서포터스의 불만처럼 지금 인천은 프런트가 만든 문제가 아니다.

인천시는 인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민간기업에 넘기는 것을 고심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김 대표는 "유정복 인천시장 역시 인천 구단을 두고 고심하고 있다. 구단도 이에 발맞춰 강도 높은 구조조정 등을 할 수 있다"며 "하지만 모두가 알고 있는대로 재정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최고의 답은 인천 내 기업이 인수하는 것이다"고 했다. 하지만 경제가 얼어붙은만큼 쉽지 않아 보인다. 인천은 매년 시즌 초 핵심 선수들을 파는 악순환 속에서도 기대 이상의 성적을 거두고 있다. 올시즌에도 시즌 초 부진을 딛고 강등권 탈출이 유력하다. 시민구단은 시민들의 행복과 복지증대를 위해 만들어졌다. 힘들때 함께 허리띠를 졸라맬 수 있지만, 어렵다고 팽할 수 있는 존재가 아니다. 지난 2005년 준우승을 차지할때 인천이 보여준 감동은 여전히 팬들의 가슴속에 남아있다.

인천 뿐만 아니라 안양, 부천 등 시민구단의 위기가 가속화되고 있다. 어느 한곳이 무너지면 도미노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그래서 인천의 행보가 더욱 주목된다. K-리그의 미래와도 직결된 문제다.

박찬준 기자 vanbasten@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