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뉴스

[SC초점] 'BTS 위버스→K팝 연합 유니버스'…새로운 K팝 시대, 팬 플랫폼 대전

백지은 기자

입력 2021-05-28 10:01

more
 'BTS 위버스→K팝 연합 유니버스'…새로운 K팝 시대, 팬 플랫폼 대…


[스포츠조선 백지은 기자] 이제는 팬플랫폼 전쟁이다.



K팝이 새로운 형태로 진화하고 있다. 1세대 K팝은 아티스트의 매력, 음원 퍼포먼스 뮤직비디오 등 음악 관련 콘텐츠로 승부를 걸었다. 2세대, 3세대 K팝은 여기에서 한층 나아가 유튜브나 SNS 등을 통한 홍보 마케팅으로 국내 팬덤을 강화하는 한편 해외 팬들에게도 어필하기 시작했다.

최근 4세대 K팝은 팬플랫폼을 통한 글로벌 팬덤 확장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오프라인 시장을 얼어붙게 만든 코로나19 팬데믹까지 겹쳐 시기적으로도 팬플랫폼은 엔터테인먼트 업계의 뜨거운 감자로 떠올랐다.

현재 선두를 달리고 있는 건 단연 하이브의 위버스와 엔씨소프트의 유니버스다.

위버스의 최대 강점은 뭐니뭐니 해도 '아티스트' 그 자체다. 빅히트 뮤직을 필두로 한 다양한 음악 레이블을 통해 방탄소년단 투모로우바이투게더 엔하이픈 뉴이스트 세븐틴 여자친구, 트레저(YG), 체리블렛 피원하모니(FNC) 위클리(플레이엠) 저스틴 비버, 아리아나 그란데 등 막강한 스타 라인업을 조달했다. 이미 전세계적으로 인기를 누리고 있는 이들의 소식을 가장 먼저 만나보고 지리적, 시간적 차이 없이 각종 굿즈와 온라인 콘서트 티켓팅 등을 즐길 수 있다는 게 위버스의 큰 매력이다.

이미 누적 앱 다운로드수는 2500만을 돌파했고, 현재 K팝 커뮤니티 플랫폼 중 최다 월간 이용자수를 보유하고 있지만, 위버스의 계획은 원대하다.

네이버 V라이브와의 통합으로 잠재고객 확보를 도모, 월간 순 이용자수(MAU)를 330만명 수준까지 끌어올리며 전세계 플랫폼 시장을 공략한다.

또 하이브 자회사 위버스컴퍼니를 통해 미국 팬투팬 플랫폼 개발 스타트업 페이브에 소수지분을 투자, 커뮤니티 소셜 플랫폼 비즈니스로 팬들의 소통을 더욱 원활하게 만들고 팬덤을 겨냥한 마켓 플레이스를 활용할 계획을 세웠다.

위버스를 쫓는 후발주자 유니버스의 기세도 무섭다.

국내 굴지의 게임사인 엔씨소프트는 자회사 클랩을 설립하고 1월 K팝 팬플랫폼 유니버스를 134개국에 동시 론칭했다. 유니버스는 다양한 음악 레이블을 확보한 하이브와 달리 자체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아티스트가 없었지만 몬스타엑스 강다니엘 오마이걸 박지훈 에이티즈 브레이브걸스 드리핀 등 총 16팀이 가세하며 상황이 달라졌다.

글로벌 팬플랫폼으로서의 기틀을 마련함과 동시에 스토리텔링으로 차별화를 꾀했다. 단순히 스타의 팬커뮤니티를 나열하는 게 아니라 유니버스의 세계관 콘셉트에 맞춰 유기적인 스토리텔링을 형성하는 콘텐츠를 생산, 색다른 경험을 가능케한다.

일례로 유니버스 플랫폼의 시작을 알린 합동콘서트는 K팝 아티스트 14팀이 유니버스로 연결되는 4가지 콘셉트 무대를 선보여 전세계 164개국 260만명의 팬들을 사로잡았다.

이용방식에도 차별화를 뒀다. 팬들에게 미션을 제시하고 업적을 달성하면 굿즈나 팬미팅 등의 이벤트 응모권에 사용할 수 있는 클랩을 지급, 게임을 하듯 커뮤니티를 즐길 수 있는 독특한 운영체제를 구축해 팬들의 적극적인 활동을 장려했다. 참여 아티스트들의 음원 뮤직비디오 예능 화보 등 독점 오리지널 콘텐츠를 확보, '올인원'을 가능하게 했다는 점도 큰 메리트로 작용한다.

SM엔터테인먼트는 2018년부터 자체 팬커뮤니티 플랫폼 리슨을 운영 중이다. 리슨에서는 아티스트의 공식 일정이나 이벤트를 확인하고 오픈채팅을 즐길 수 있다.

이처럼 너도나도 팬플랫폼 구축 및 성장에 열을 올리는 건 단연 '수익성' 때문이다. 더욱이 코로나19 시국까지 겹쳐 오프라인에서 소비되던 2차 판권 매출이 온라인으로 넘어오면서 팬플랫폼 비즈니스는 매우 중요한 부가수익원이 됐다.

하이브를 예로 들어보자. 하이브의 1분기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29% 증가한 1783억원, 영업이익은 9% 늘어난 217억원을 기록했다. 상품(MD), 라이선싱 부문은 89% 상승한 6547억원, 콘텐츠 부문은 360% 확대된 372억원, 팬클럽 관련 매출은 24% 증가한 89억원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로 공연매출이 크게 줄었지만 자체 플랫폼 위버스의 선전이 큰 몫을 했다. 지난해 위버스 플랫폼의 매출 비중은 전체 총 매출액의 41%로 크게 늘었다. 위버스를 통한 MD 콘텐츠 결제액만 3280억원에 육박했다. 위버스를 통해 팬덤을 집약시키고 콘텐츠 유통과 커머스 기능을 연동시킨 점이 수익에 긍정적으로 작용한 것이다.

엔터테인먼트사와 IT기업의 동행, 그를 통한 팬플랫폼 비즈니스 모델 및 수익구조 확장은 더욱 가속화될 전망이다.

네이버는 V라이브와 위버스를 통합, 방탄소년단 블랙핑크 NCT 트와이스 등 대표 K팝 스타들의 콘텐츠를 한번에 만날 수 있는 창구를 마련한다. 이전까지 국내 기획사는 라이벌 관계를 형성하며 각기 다른 플랫폼에서 활동해왔다. 하지만 이번을 계기로 플랫폼 간의 협업을 도모, 글로벌 시장 공략에 나선다. K팝과 K기술이 모두 힘을 합쳐 K콘텐츠를 알리겠다는 계산이다.

유니버스는 카카오, CJ ENM과 손잡고 규모 확장에 나선다. 카카오의 뮤직플랫폼 멜론과 연동하고, CJ ENM과 연내 합작법인을 설립해 더욱 다양한 콘텐츠 사업을 진행한다. CJ ENM의 자회사인 Mnet의 한중일 걸그룹 데뷔 프로젝트 '걸스플래닛 999 : 소녀대전' 공식 플랫폼 파트너로 참여해 독점 콘텐츠를 공개하고 투표도 진행한다.

관계자는 "현재와 같은 팬플랫폼 전쟁은 K팝이 한층 산업화 됐다는 증거다. 좋은 콘텐츠를 보유했더라도 이를 알리고 확장해줄 플랫폼을 만나지 못하면 소용이 없다. 그만큼 얼마나 많은 인프라를 보유했는지가 중요하다. 더욱이 코로나19 영향으로 온라인 사업이 중요해졌다. MD 굿즈 구매 금액이 2018년의 2배 수준으로 늘어나면서 팬플랫폼 사업모델도 자리잡는 추세다. 플랫폼을 고도화해 소속 아티스트의 활용도와 수익성을 높이고 간접매출을 극대화하는 것이 코로나19 시국에서 찾아낸 새로운 돌파구"라고 말했다.

백지은 기자 silk781220@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