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뉴스

식료품·임대료 등 4대 가계 필수지출 비중 41%…IMF 때 수준

이정혁 기자

입력 2021-04-04 09:43

지난해 가계 전체 지출 가운데 필수 항목의 지출이 차지하는 비중이 22년 만에 가장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4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가계의 소비지출 가운데 4대 필수 품목의 지출은 348조465억원이었다. 지난해 가계의 전체 국내 소비지출(851조7천512억원)의 40.9%에 달한다.

이 비중이 40%를 넘은 것은 1999년(40.6%) 이후 처음으로,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직후인 1998년(42.7%) 이후 가장 크다.

가계의 목적별 최종소비지출은 모두 12개 항목으로 분류된다. 이 가운데 필수 지출은 식료품 및 비주류 음료(식생활 관련 지출), 임대료 및 수도 광열(전·월세·수도·관리비 등), 가계시설 및 운영(가구·가전 등), 의료 보건(병원비 등) 등 보통 4개 항목이 꼽힌다.

지난해에는 매 분기 4대 필수 품목의 지출 비중이 40%를 넘었다. 1분기(40.6%)에서 4분기(41.4%)로 갈수록 비중이 커졌는데, 4분기 비중은 1998년 4분기(42.5%) 이후 가장 컸다.

경제가 발전하고 국민 소득이 늘어남에 따라 삶의 질이 높아지면 기본적 생존과 관련이 깊은 지출 비중은 줄기 마련이다. 반대로 오락, 문화, 교육, 외식 등의 지출 비중이 커진다.

이에 따라 4대 필수 품목의 지출 비중은 2000년에 39.5%까지 내리면서 한은이 관련 통계를 편제하기 시작한 1970년 이래 처음으로 40%를 밑돌았다. 금융위기를 겪은 2008년(35.6%)과 2009년(35.7%)에도 이 비중은 40%에 못 미쳤다.

이런 추세는 2019년까지 이어졌지만, 지난해 코로나19가 큰 물줄기를 바꿔놓았다. 감염병 확산에 따른 코로나19 경제 위기는 외환위기나 금융위기 때보다 경제에 심각한 타격을 입혔고, 불확실성이 커지자 경제 주체들은 불필요한 항목 앞에서는 지갑을 닫았다. 경제 전문가는 "소비 주체들이 최대한 필요한 분야에만 돈을 썼기 때문에 이 비중은 커질 수밖에 없다"고 분석했다.이정혁 기자 jjangga@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