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뉴스

'마실 물이 없다'..근본대책 서둘러야

2009-01-19 07:32

 겨울 가뭄이 지속되면서 물조차 마음껏 마시지 못하는 지역이 계속 늘어나고 있어 근본적인 대책을 서둘러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는 이미 예고된 '물부족 국가'여서 신규 댐 건설 등 대책이 나오지 않는 한 해가 갈수록 사태는 심각해 질 전망이다.

 ◇ 예고되고 있는 '물 분쟁' = 태백시는 13일부터 비상급수 차량의 펌프를 이용해 황지연못에서 취수를 시작했다. 1989년 용수전용댐인 광동댐을 취수원으로 활용하기 시작한 지 20년 만에 처음 있는 일이다.

 광동댐이 계속되는 가뭄에 버티지 못하고 12일부터 물 공급량을 줄인 데 따른 불가피한 선택이었다.

 태백시민은 가뭄이 계속돼 황지연못 등 인근 연못까지 바닥을 드러낼 경우에는 물을 마시고 싶어도 마실 물을 구하지 못하는 상황으로 몰릴 수도 있다.

 이 때문에 태백시민연대 등은 안정적인 용수공급대책 수립을 요구하고 나섰다.

 식수난을 겪는 곳은 태백시뿐만 아니다.

 낙동강 상류인 경북 김천, 안동 등의 일부 지역에서는 물을 실어나르는 차량을 통해 물을 배급받고 있다. 또 포항, 상주 등은 정해진 시간대에만 수돗물이 나오는 제한급수가 실시 중이다.

 국토부에 따르면 10일 현재 전국의 22개 시ㆍ군의 2만7282가구가 제한급수를 받고 있고 15개 시ㆍ군 3795가구는 차량 운반급수를 통해 마실 물을 해결하고 있다.

 이 같은 식수 부족은 가뭄이 장기화하고 있는 데 따른 것으로 15개 다목적 댐의 저수율은 1년 전의 67% 수준으로 떨어졌다.

 가뭄이 지속되면 식수난에 시달리는 지역은 늘어날 수밖에 없다.

 최근 안동댐의 방류를 두고 발생한 갈등은 '물 분쟁'의 예고편으로 보기에 충분하다.

 낙동강에서 발암물질인 다이옥신이 기준치를 넘어서자 환경당국이 희석효과를 노리고 안동댐의 방류를 요청했고 수자원공사는 50만t은 방류해 줬지만 추가 방류 요청은 수용하지 않기로 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댐의 수위가 낮아지면서 마실 물에 대한 걱정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라면서 "수질오염대책을 제대로 실행하지 못하면서 댐의 물만 달라고 하는 것은 '언발에 오줌누는 식'이어서 받아들이기 어렵다"고 말했다.

 ◇ 강수량의 73%는 낭비 = 우리나라 연평균 강수량은 1245㎜로 적은 편이 아니다. 문제는 강수량의 3분의 2가 여름 장마철과 태풍기간에 집중되는 것이다.

 강수량이 집중되는 시기에 물을 가둘 수 있는 그릇이 충분하지 않으면 대규모 홍수 피해 등으로 연결될 뿐 아니라 식수를 포함한 용수 부족에 시달리게 된다.

 우리나라의 저수 능력은 좋지 않다. 전체 강수량의 42%는 손실되고 58%만 하천으로 흘러들어 수자원으로 이용 가능하다. 그러나 이 58%를 다 저장할 그릇이 없어 31%는 강을 따라 바다로 흘러가고 27%만 이용할 수 있다. 결국 전체 강수량의 4분의 3이 버려지고 있는 셈이다.

 우리나라 국민의 물 이용량은 계속 늘고 있다. 1965년 51억t에서 1994년 301억t, 2003년 337억t 등으로 늘어났다. 국토부는 2011년에는 355억t으로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 있는 다목적댐과 용수전용댐, 농업용 저수지에 물을 최대한도까지 가둔다고 하더라도 8억t이 부족하게 된다.

 ◇ '댐이 필요한 데'..난관에 부딪힌 정부 = 예상되는 물 부족을 막기 위한 방법은 댐을 많이 지어 물을 많이 저장해 두는 게 최상이다.

 그러나 댐 건설지역의 주민들을 설득하기 어려운데다 환경파괴 등을 우려하는 시민단체 등의 반발 때문에 댐을 짓기가 쉽지 않다.

 영월댐이 대표적인 경우다. 영월댐은 저수량 7억t으로 계획돼 건설이 추진됐지만 동강을 살려야 한다는 저항에 부딪혀 진척이 없다가 결국 2000년 백지화되고 말았다.

 지난 10년간 착공에 들어간 댐은 화북댐(2000년), 성덕댐(2002년), 부항댐(2005년) 등 3개에 불과하다. 이들 3개 댐을 다 합친 저수량은 고작 1억3000만t 남짓으로 소양강댐(29억t)과 비교하면 22분의 1밖에 안되는 규모이다.

 국토부는 기존의 댐건설계획을 전면 수정하고 신규 댐 건설도 올해 안에 확정하기로 했지만 댐을 만드는 데 길게는 10년이 소요되는 것을 고려하면 서둘러야 한다는 지적이다.

 또 댐과 별개로 한강 등의 밑바닥을 준설해 강 자체 저장용량을 늘리는 방법도 있다. 그러나 이는 대운하를 추진하는 게 아니냐는 논란을 빚을 수 있어 언감생심이다.

 정부가 4대강 살리기 사업을 하겠다고 했지만 이는 최소한의 준설이어서 저수용량 확대에는 별 도움이 되지 않는다.

 국토부 관계자는 "물 부족이 앞으로 더 심각해 질 것이라는 데 정부도 공감하고 있다"면서 "단기적인 급수대책뿐만 아니라 중장기적으로 댐을 짓는 등의 계획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

많이 본 뉴스

 
Copyright sports.chosun.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