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um App

Experience a richer experience on our mobile app!

숨은감염자, 50대 부모세대에서 특히 많았다…부산·제주 '최다'

정부가 23일 발표한 전국단위 코로나19 항체양성률 조사 결과에서 경제활동이 왕성한 40∼50대 사이에서 이른바 '숨은 감염자'의 비율이 두드러지게 높게 나타나 눈길을 끈다.
23일 국립보건연구원이 발표한 '전국단위 코로나19 항체양성률 조사 결과'에 따르면 코로나19에 감염됐으나 진단을 받지 않거나 무증상 감염된 '미확진 감염자'(숨은 감염자)의 비율은 지난 7월30일까지 전 국민의 19.5%로 추정된다.
미확진 감염자의 비율을 연령대별(연령가중치 보정)로 보면 특히 50대에서 27.7%로 가장 높았으며 40대 24.8%, 60대 22.7% 순이었다.
반면 80대 이상은 5.4%로 가장 낮았고 30대(13.8%), 10대(15.5%), 70대(17.8%)도 낮은 편이었다. 5~9세(18.2%), 20대(20.2%)는 평균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40대와 50대에서 미확진 감염자의 비율이 높은 것은 이 연령대에서 감염 사실을 숨긴 채 경제활동을 한 사례가 많았기 때문이었을 가능성이 있다.


권준욱 국립보건연구원장은 "40~50대에서 미확진 감염률이 높게 나온 것에 주목하고 있다"며 "이 연령대 일부는 증상이 있더라도 신고하고 격리되는 것에 대한 우려 때문에 그냥(진단 검사를 받지 않고) 지나갔을 수 있다. 경제활동 인구이고 가정을 책임지는 그룹이라서 그런 행태를 보였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80세 이상에서 미확진 감염자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에 대해서는 "백신 접종률이 높아 백신에 의한 확산 예방 효과가 어느 정도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고 추정했다.
이번 조사에서 자연감염과 백신접종으로 양성 항체를 갖게 된 비율(항체양성률)의 평균은 97.38%였는데, 다른 연령대가 평균 이상인 가운데 5~9세(79.6%), 10대(90.6%)는 평균보다 낮았다.
이는 영유아와 청소년의 경우 백신 접종 대상이 아니거나 접종 대상이 된 기간이 짧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대신 자연감염과 백신접종 등 2가지 요인 중 자연감염으로 양성 항체를 갖게 된 비율(N항체 양성률)은 5~9세(79.8%), 10대(70.6%)에서 다른 연령대보다 높은 편이었다. 그만큼 자연 전파가 활발히 이뤄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N항체 양성률은 연령대가 낮을수록 높은 편이었는데, 20대 64.2%, 40대 62.0%로 전체 평균(57.65%)보다 높았으나 30대(57.0%), 50대(55.9%), 60대(50.3%), 70대(43.1%), 80대(32.2%) 등은 평균 이하였다.


권 원장은 "소아층은 접종률이 낮고 사회적 행태가 활발한 편이어서 전파(자연감염)가 많았을 것으로 추정된다"며 "백신접종 허용 기간이 짧아 자연감염(N항체양성률)이 타연령보다 높음에도 불구하고 항체양성률이 낮았다"고 설명했다.
숨은 감염자의 비중은 지역별로도 격차가 뚜렷했다. 가장 높은 부산(28.7%)과 가장 낮은 울산(11.5%) 사이에 17.2%포인트(p)나 차이가 났다.
제주 27.1%, 전남 22.4%, 경남 22.2%, 경북 22.1% 등으로 부산과 함께 평균보다 높았고, 반면 울산 외에도 광주(12.8%), 인천(15.7%), 전북(15.9%), 충남(16.9%)은 평균 이하였다.
서울(20.2%), 경기(18.2%), 세종(17.5%), 강원(19.1%), 대구(19.3%), 대전(19.4%), 충북(19.5%)은 평균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자연감염 수준을 뜻하는 N항체양성률은 부산(64.9%), 제주(66.1%), 서울(61.8%)에서 높은 편이었고, 울산(48.6%), 광주(51.5%), 전북(52.9%)은 낮은 편이었다.
이처럼 지역간 숨은 감염자나 자연감염 수준이 다른 것은 전파 양상이나 검사 전략, 방역 대응에서 차이가 있었기 때문일 가능성이 있다. 한편으로는 노인 인구의 비중 등 인구 구조 차이가 영향을 미쳤을 수도 있다.
정재훈 가천대 의대(예방의학과) 교수는 "왜 이런 현상이 나왔는지는 추가로 연구를 해야 할 것 같지만, 지역간 차이는 확실히 있다"며 "인구 구조가 영향을 미쳤을 수 있고, 지자체의 방역 역량과 연결되는 부분은 아닐 수 있다"고 설명했다.

bkkim@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