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um App

Experience a richer experience on our mobile app!

욱일기 반입 금지 물품 제외, 일본의 끝나지 않은 '올림픽 정치'

[스포츠조선 김가을 기자]지난 1940년. 일본은 삿포로와 도쿄에서 각각 동·하계올림픽을 치를 예정이었다. 하지만 1937년 중국에서 중·일전쟁을 일으킨 대가로 올림픽 개최권을 반납해야 했다. 1940년 열릴 예정이던 올림픽 역시 제2차 세계대전 속에 역사 속에서 잊혀졌다.

그로부터 80년이 흐른 2020년. 일본은 또 한 번 올림픽 개최에 나선다. 코로나19 사태 속 1년 연기됐지만, 올림픽은 정상적으로 치른다는 계획이다. 다만, 80년 전과 비교해 달라지지 않은 것이 있다. 일본의 올림픽에는 여전히 정치가 흐른다는 사실이다.

스포니치아넥스 등 일본 현지 언론의 보도에 따르면 2020년 도쿄올림픽·패럴림픽 조직위원회는 대회 개최 시 경기장 반입 금지 물품과 금지 행위 등을 정해 발표했다. 지난달 30일 공개된 이 반입 금지 목록에는 대회에 참가하지 않은 국가의 국기와 배너, 현수막 등이 포함됐다. 하지만 전범기, 이른바 '욱일기'는 제외됐다. 욱일기는 일본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정치적 주장이나 차별적 표현이라는 지적은 맞지 않다는 이유다. 다만, 조직위는 욱일기가 문제 발생이 될 경우에는 퇴장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다고 밝혔다.

올림픽을 주관하는 국제올림픽위원회(IOC)는 헌장 50조에 '올림픽에서 정치적·종교적·인종차별적 선동행위를 금지한다'고 명시했다. 하지만 토마스 바흐 IOC 위원장은 욱일기 사용 금지를 언급하지 않는 등 소극적 입장을 취하고 있다.

과거 일본의 침략과 식민지 지배를 경험한 국가들은 욱일기 반입을 금지해야 한다는 목소리를 냈다. 우리나라 국회는 도쿄올림픽에서 욱일기 반입금지 조치 촉구 결의안을 채택하기도 했다. 도쿄신문 역시 '욱일기는 역사적 경위가 있다. 경기장 반입 허용은 주변국의 반발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 대회 성공을 위해서라도 재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일본은 눈을 감고 귀를 닫았다. 오히려 '욱일기가 정치적 혹은 군국주의 상징이라는 지적은 맞지 않는다'는 등의 주장을 펼쳤다. 일본의 올림픽 정치, 아직 끝나지 않은 현실이다.

김가을 기자 epi17@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