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um App

Experience a richer experience on our mobile app!

국내 AI 인력 부족…중국·일본보다 경쟁력 낮아

국내 인공지능(AI) 전문 인력 양성 생태계 확보가 시급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AI가 미래 성장동력 사업군으로 꼽히고 있지만 인재 경쟁력이 일본과 중국보다도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이 지난달 국내 산업계, 학계, 연구원 등에서 AI 관련 연구를 하는 전문가 30명을 대상으로 설문(전화·이메일)을 한 결과다.

15일 한경연에 따르면 AI 산업을 선도하는 미국의 AI 인재 경쟁력을 10으로 볼 때 한·중·일 3국의 AI 인재 경쟁력 수준은 각각 5.2(한국), 6(일본), 8.1(중국)로 평가됐다.

한경연 측은 전문가의 말을 빌려 한국의 AI 인재 경쟁력이 미국의 절반 수준에 불과하고 정부가 대규모 투자를 추진하는 중국과도 상당한 격차를 보이고 있고, 국내에서 관련 인력이 배출되지만 미국, 유럽, 중국행을 택하는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AI 인력이 수요보다 얼마나 부족한지를 묻자 가장 많은 20.7%가 '50∼59%'라고 답했고, '70∼79%'·'30·39%'라는 답이 각각 17.3%로 나타났다. AI 인력 부족률은 평균 60.6%로 필요인력 10명중 4명 밖에 충당되지 않고 있는 셈이다.

AI 전문 인력 양성 및 확보 방안으로는 '국내외 AI 석박사 채용'(89.3%·복수응답)이 가장 많았다. '재직자 AI 교육'(75.0%), '대학 연계 프로그램 개발'(46.4%)이라는 답이 뒤를 이었다. 국내외 AI 기업을 인수하거나 해외연구소 설립·인수라는 답도 각각 17.9% 나왔다.

AI 인력을 확보하는 데 가장 큰 애로 요인으로는 '실무형 기술인력 부족'(36.7%·2순위까지 복수응답)하다는 답이 가장 많았다. 이어 '선진국 수준의 연봉 지급이 어렵다'(25.5%)는 이유가 꼽혔다. '대학원 등 전문 교육기관 및 교수 부족'(22.2%), '근로시간 등 경직된 근무환경 및 조직문화'(6.7%), '예산지원, 규제 완화 등 정부 지원 부족'(6.7%) 등도 애로 요인으로 꼽혔다.

김세형 기자 fax123@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