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um App

Experience a richer experience on our mobile app!

자살 생각 이유…경제문제-가정 문제-성적·시험·진로 문제 順

자살을 생각해본 적이 있는 사람은 경제적인 문제를 자살 생각을 하게 된 가장 주된 이유로 꼽았다.
보건복지부는 이런 내용을 담은 '2018 자살실태조사' 결과를 22일 발표했다.

복지부는 '자살 예방·생명존중문화 조성을 위한 법률'에 근거해 자살실태를 5년마다 조사하고 있다.
이번 조사는 2013년에 이은 두 번째로, 자살의 국민 태도 조사와 의료기관 방문 자살 시도자 실태조사로 나뉘어 실시됐다.
전국 만 19세 이상 75세 이하 성인 1천5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국민의 자살 태도 조사 결과, 자살 생각을 해본 적이 있는 사람은 18.5%였다. 2013년 조사 때(22.8%)보다 4.3%포인트 감소했다.
자살 생각을 한 주된 이유는 경제적인 문제(34.9%), 가정생활 문제(26.5%), 성적·시험·진로 문제(11.2%) 등 순이었다.
자살 생각을 했던 사람 중 전문가와 상담한 경험이 있는 경우는 4.8%에 그쳤다.
자살을 생각했지만 상담받지 않은 이유로는 '시간이 지나면 괜찮아질 것 같아서'(40.3%), '상담으로 해결 안 될 것 같아서'(30.3%), '주변 시선 때문에'(15.3%) 등을 들었다.
자살 생각이 있는 사람 중 자살을 계획한 사람은 23.2%였다. 2013년 조사 때(23.4%)와 비교하면 0.2%포인트 줄었다.
자살 계획 있는 사람 중에서 자살을 시도한 사람은 36.1%로 2013년 조사(44.6%) 때와 견줘서 8.5%포인트 낮아졌다.
자살 시도자를 보호하기 위해 개인 동의 없이도 자살 예방기관의 개입이 허용돼야 한다는 의견에 일반 국민의 79.1%가 동의했고, 이 중 54.9%는 1회만 자살 시도를 한 경우에도 바로 개입할 필요가 있다고 답했다.
적절한 개입 내용으로는 시도자 정보(연락처 등)를 자살 예방기관에 제공(45%), 시도자 본인 정신건강의학과 진료(42.9%) 등이 있었다.
생명 지킴이 교육과 자살위험 신호 공익광고 등의 영향으로, '자살을 생각하는 사람은 자살에 관해 이야기한다', '자살 생각이 시간을 두고 발생한다'는 인식 등 국민의 자살 관련 지식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자살을 받아들여야 하는 상황이 있다'는 등 자살의 허용적 태도가 높아졌고, '자살은 예방할 수 있다'는 인식은 조금 낮아졌다.
38개 병원(응급실 자살 시도자 사후관리 수행기관) 응급실을 내원한 만 18세 이상 자살 시도자 1천550명(남성 657명, 여성 893명) 대상의 자살 시도자 실태조사 결과, 74.5%가 이전에 정신건강의학과에 방문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3년 조사 때(49.6%)와 비교해 24.9%포인트 증가한 수치다.
조사 대상 자살 시도자 중 남성 52%, 여성 37.9%가 신체 질환을 갖고 있었다. 2013년 조사 때(남성 32.7%, 여성 23.9%)보다 각각 10%포인트 이상 높아졌다.
2013년 조사 때와 비교할 때 2018년 조사에서 자살 시도자의 주관적 자살 시도 원인(중복응답)은 정신과적 증상(37.9%→35.1%), 대인관계 문제(31.2%→30.3%)는 감소했다.
반면 직장 관련 문제(2.9%→5.4%), 급격한 금전손실(5.2%→8.4%)은 증가했다.
자살 시도의 두 번째 원인인 대인관계 문제 중 가족·배우자·연인 간의 문제가 89.5%를 차지했다.
사전 계획으로 자살 시도를 했는지 알아보니, 계획 없이 충동적인 경우 54.5%, 자살 시도 전 세 시간 이내 생각 20.3%, 세 시간 이상 생각한 비율 25.2% 등이었다.
삶과 죽음의 감정에서 죽고 싶었다고 대답한 사람은 47.7%, 죽고 싶지 않았던 사람은 13.3%, 죽거나 살거나 상관없었던 경우는 39.0% 등으로 삶에 양가감정을 보였다.
자살 시도자 중 52.6%는 음주 상태로 자살을 시도해 2013년 조사 때(44%)보다 높았다. 남성의 58%, 여성의 48.7%가 음주 상태로 자살을 시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살 시도 방법은 음독(56.3%), 날카로운 물질(15.0%), 가스(10.3%), 농약(9.1%) 등 순이었다. 농촌의 경우 농약이 37.0%로 도시(4.3%)보다 매우 높았다. 가스를 활용한 자살 시도 비율은 도시(11.1%)가 농촌(6.4%)보다 높았다.

┌─────────────────────────────────────┐
│ <자살 생각의 주된 이유> ※ n=자살 사고 있었던 사람(278명)   │
│                         │
├──┬──┬──┬──┬──┬──┬──┬──┬──┬──┬──┬──┬─┤
│자살│경제│가정│성적│직장│남녀│육체│정신│사별│알코│학대│기타│계│
│ 생 │적인│생활│, 시│ 또 │ 문 │ 적 │과적│ 문 │ 올 │ 또 │ │ │
│각 │ 문 │ 문 │험, │ 는 │ 제 │질병│ 문 │ 제 │ 등 │ 는 │ │ │
│이유│제 │제 │진로│업무│ │ 문 │ 제 │ │중독│폭력│ │ │
│ │ │ │ 문 │ 문 │ │ 제 │ │ │ 문 │ 문 │ │ │
│ │ │ │ 제 │ 제 │ │ │ │ │ 제 │ 제 │ │ │
├──┼──┼──┼──┼──┼──┼──┼──┼──┼──┼──┼──┼─┤
│비율│34.9│26.5│11.2│7.2 │5.7 │5.4 │4.1 │2.0 │0.8 │0.4 │1.8 │10│
│ │(28.│(29.│(9.5│(6.6│(5.8│(7.1│(4.1│(1.3│(0.7│(0.4│(6.3│0 │
│ │ 5) │ 6) │ ) │ ) │ ) │ ) │ ) │ ) │ ) │ ) │ ) │(1│
│ │ │ │ │ │ │ │ │ │ │ │ │00│
│ │ │ │ │ │ │ │ │ │ │ │ │.)│
└──┴──┴──┴──┴──┴──┴──┴──┴──┴──┴──┴──┴─┘

[자살 시도자의 주관적 자살 시도 원인(중복응답)]
┌────────────┬────────┬───────┬───────┐
│ │ 남성 │ 여성 │ 계 │
│ ├────┬───┼───┬───┼───┬───┤
│ │인원(명)│ (%) │인원( │ (%) │인원( │ (%) │
│ │ │ │ 명) │ │ 명) │ │
├────────────┼────┼───┼───┼───┼───┼───┤
│ 정신과적 증상 │ 372 │ 32.4 │ 579 │ 37.2 │ 951 │ 35.1 │
├────────────┼────┼───┼───┼───┼───┼───┤
│ 대인관계 문제 │ 303 │ 26.4 │ 516 │ 33.1 │ 819 │ 30.3 │
├────────────┼────┼───┼───┼───┼───┼───┤
│ 학업, 성적, 입시 등 │ 15 │ 1.3 │ 37 │ 2.4 │ 52 │ 1.9 │
├────────────┼────┼───┼───┼───┼───┼───┤
│취업, 승진 등 직장 관련 │ 80 │ 7.0 │ 67 │ 4.3 │ 147 │ 5.4 │
├────────────┼────┼───┼───┼───┼───┼───┤
│ 급격한 금전 손실 │ 129 │ 11.2 │ 97 │ 6.2 │ 226 │ 8.4 │
├────────────┼────┼───┼───┼───┼───┼───┤
│ 만성적 빈곤 │ 47 │ 4.1 │ 42 │ 2.7 │ 89 │ 3.3 │
├────────────┼────┼───┼───┼───┼───┼───┤
│ 외로움/고독 │ 87 │ 7.6 │ 96 │ 6.2 │ 183 │ 6.8 │
├────────────┼────┼───┼───┼───┼───┼───┤
│ 신체적 질병 │ 106 │ 9.2 │ 84 │ 5.4 │ 190 │ 7.0 │
├────────────┼────┼───┼───┼───┼───┼───┤
│폭행(성폭행, 물리적 폭 │ 7 │ 0.6 │ 22 │ 1.4 │ 29 │ 1.1 │
│ 행) │ │ │ │ │ │ │
├────────────┼────┼───┼───┼───┼───┼───┤
│ 기타 │ 0 │ 0.0 │ 1 │ 0.1 │ 1 │ 0.0 │
├────────────┼────┼───┼───┼───┼───┼───┤
│ 미상 │ 3 │ 0.3 │ 16 │ 1.0 │ 19 │ 0.7 │
├────────────┼────┼───┼───┼───┼───┼───┤
│ 합계 │ 1149 │100.0 │ 1557 │100.0 │ 2706 │100.0 │
└────────────┴────┴───┴───┴───┴───┴───┘

※ 우울감 등 말하기 어려운 고민이 있거나 주변에 이런 어려움을 겪는 가족ㆍ지인이 있을 경우 자살 예방 상담 전화 ☎1393, 정신건강 상담 전화 ☎1577-0199, 희망의 전화 ☎129, 생명의 전화 ☎1588-9191, 청소년 전화 ☎1388 등에서 24시간 전문가의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shg@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