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um App

Experience a richer experience on our mobile app!

서울 고소득-저소득 체감집값 양극화 2008년 이후 최악

서울에 사는 고소득층과 저소득층 간 체감 집값 양극화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수준으로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소득 1분위 저소득층 가구가 서울에서 집을 마련하려면 한 푼도 안 쓰고 21년간 꼬박 모아야 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26일 KB 주택시장 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연 소득(명목) 하위 20%인 1분위 가구(2인 이상·도시가구)의 서울 주택 가격(KB시세) 1분위 기준 PIR(Price to income ratio·소득 대비 주택가격 비율)은 21.0이었다. 이는 소득이 가장 낮은 1분위 가구가 소득 수준과 비슷한 하위 20% 가격의 주택을 사려면 소득을 전혀 안 쓰고 21년을 모아야 한다는 뜻이다. PIR은 실제로 집을 마련할 수 있는 기간과 차이가 있지만, 소득과 비교한 주택가격을 보여주기 때문에 흔히 체감 집값 지표로 활용된다.

이에 비해 소득 상위 20%인 5분위 가구가 가격 상위 20% 주택을 지출 없이 살 수 있는 기간(PIR)은 14.6년이었다. 이에 따라 고소득층 가구와 저소득층 가구의 PIR 차이는 6.4년으로 같은 달 기준으로 관련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2008년 12월 이후 가장 크다. 같은 분위의 주택가격을 기준으로 한 1·5분위 가구 간 PIR 격차는 2008년 12월 5.2를 기록한 뒤 꾸준히 하락세를 유지해 2017년 12월에는 2.0까지 내려갔다. 소득 차이에도 각자의 소득 수준에 걸맞은 집을 사기까지 걸리는 시간의 격차가 2년에 불과했다는 의미다.

하지만 지난해 전년 동기 대비 높은 집값 상승세가 계속되는 상황에서 분배 악화까지 심화되면서 분위별 PIR 격차는 글로벌 금융위기 수준으로 벌어진 것. 그만큼 서민들이 느끼는 체감 집값이 최근 들어 고소득층에 비해 더 높아지고 있다는 뜻으로 해석될 수 있다. KB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전년 동기 대비 전국의 주택가격은 3.16% 상승했다. 지난해 4분기 1분위 가계 소득(명목·전국)은 1년전보다 17.7% 줄어든 반면 5분위 가계 소득은 10.4% 올랐다. 조완제 기자 jwj@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