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싱턴=연합뉴스) 김동현 특파원 = 북중러 3국이 동북아시아에서 한미일 3국의 안보 협력 확대에 맞서 앞으로 북중러 정상회담을 개최하는 등 3자 관계를 계속 강화할 것이라고 미국의 북한 전문가가 전망했다.
알렉산드르 만수로프 조지타운대 교수는 5일(현지시간) 워싱턴타임스재단 주최 세미나에서 북중러가 한미일 협력 확대에 대항하는 차원에서 3자 군사협력을 개시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미러, 미중 관계가 지금 궤도대로 계속 간다면 향후 푸틴(러시아 대통령), 김정은(북한 국무위원장), 시진핑(중국 국가주석)이 3자 정상회담을 할 가능성을 배제하기 힘들다"고 관측했다.
그는 올해 북한과 러시아가 정상회담을 할 것으로 예상되는 등 북러관계가 매우 빠르게 진전되고 있다면서 양국이 군사 교육·훈련 분야에서 교류를 확대해 우크라이나 등 분쟁 지역에서 얻은 교훈과 지식을 공유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그는 또 북한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전쟁을 지속해서 지지해온 점을 고려해 러시아가 북한 정권 수립 75주년인 오는 9일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국가안보회의 부의장 등 고위급을 북한에 보낼 수 있다고도 내다봤다.
북한이 브릭스(BRICS·브라질, 러시아, 인도, 중국, 남아프리카공화국 등 5개 신흥 경제국 협의체)나 중러가 주도하는 정치·경제·안보 기구인 상하이협력기구(SCO)에 참여할 가능성에 대해선 당장은 낮게 봤다.
그는 북한이 주체사상에 기반한 자주, 독립 외교를 중요시하는 점을 고려하면 이들 기구에 참여 의사를 표명하지 않는 게 놀랍지 않다면서 "세계의 분열이 계속된다면 나는 북한의 가입 가능성을 배제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시드니 사일러 전 미국 국가정보국(DNI) 산하 국가정보위원회(NIC) 북한 담당관도 북중러 3자 정상회의 가능성에 대해 생각해볼 만한 가치가 있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bluekey@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