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디 인생이 원하는 대로 흘러가던가요
(서울=연합뉴스) 이은정 기자 = ▲ 나의 한국어 바로 쓰기 노트 = 남영신 지음.
디지털 기기 사용에 익숙한 젊은 세대의 문해력이 저하됐다는 우려가 심심찮게 나온다. 온라인에선 3일을 뜻하는 순우리말인 사흘을 4일로, 금일(지금 지나가고 있는 이날)을 금요일로 해석해 웃지 못할 논란도 일어난다.
대부분의 사람은 으레 완벽하고 자연스럽게 한국어를 구사한다고 여긴다. 그러나 정확하게 한국어를 쓰기란 쉽지 않다. 맞춤법에 맞지 않는 문장, 어휘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문장, 문맥이 맞지 않는 문장 등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책은 한국어의 어려운 문제를 점검하고 정확하게 사용하도록 안내한다. 국어문화운동본부 이사장인 저자가 2002년 펴낸 책을 21년 만에 개정판으로 출간했다.
책은 한국어 조사와 어미의 정확한 사용법, 문장과 논리의 호응, 시제와 높임법의 일치, 간결하고 명확한 문장을 위한 순화와 퇴고로 구성됐다.
개정판에선 쉽고 평범한 글쓰기를 위한 '순화' 부분을 추가하고, 호칭과 지칭 문제와 관련한 내용을 부록으로 덧붙였다.
저자에 따르면 한국인들이 가장 많이 헷갈리는 조사는 '이/가'와 '은/는', '에'와 '에서'이다.
가령 "이게 뭐야"와 "이건 뭐야"는 한국어에선 분명한 어감의 차이를 지닌다. 주격 조사 '이/가'와 달리 보조사 '은/는'은 비교·대조의 의미를 나타내거나, 문장의 주제를 드러내는 기능을 한다.
저자는 "자유로운 소통을 제약하는 국어의 인사말, 반말, 호칭, 지칭에 대해서 국민이 자유롭게 토론할 수 있는 공간을 국가가 마련해 주어야 한다"고 제안한다.
까치. 298쪽.
▲ 어디 인생이 원하는 대로 흘러가던가요 = 이근후·이서원 지음.
사람은 자신의 단점을 고쳐야 하는 것일까.
스승은 이 화두에 "장점과 단점이 합쳐 내 성격이 된 것"이라며 "단점은 고치는 것이 아니라 활용하는 것"이라고 답한다.